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이병주의 소설(『관부연락선』, 「변명」, 『지리산』, 『별이 차가운 밤이면』)을 대상으로 학병의 문제가 어떻게 기억되고 서사화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집단 서사나 개인 수기에서 소거되었던 학병의 내면을 응시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힌 바 있는 개인 수기나 집단 수기 등의 학병 서사와 학병을 다룬 여타의 소설들에서 나타난 학병의 정체성과 논리를 짚어 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3장부터 5장에서는 학병 주체의 입장에 따라 학병의 문제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추적하였다. 학병 지원 후 귀환한 학병의 서사가 주를 이루는 『관부연락선』에서는 학병의 지원 논리를 통해 집단 서사의 논리를 전복시키고, 자기반성을 시도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학병 탈출자의 서사를 다룬 「변명」은 탈출 학병과 귀환 학병의 경계를 무너뜨리고자 하는 심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출 학병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그들을 기록하고자 하는 소명의식이 양가적인 형태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학병의 심리는 학병 거부자의 삶에 초점을 둔 『지리산』에서도 지속되지만, 자기비판이 촉발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자기반성과 비판이 진정성을 확보하기도 전에 운명이라는 명명 앞에서 또다시 학병은 민족의 수난자로 전이되고 만다. 자기 합리화와 자기비판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소설은 『별이 차가운 밤이면』에 와서야 비로소 자기반성과 자기비판의 장을 열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Lee Byung-ju's novels (『Gwanb Ferry』, 『Excuse』, 『Jirisan』, 『When the Star is Cold Night』) and explores how the problems of the Korean student soldier are remembered and epicized; it is a group narrative or personal writing. I delved within the character of a Korean student soldier who was erased from the film. To this end, Chapter 2 first examined the Korean student soldier’s identity and logic in the narrative and other novels dealing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personal and group writing, which were revealed throug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se contents, chapters 3 to 5 traced how the problem of the Korean student soldier is shap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is subject . In the 『Gwanb Ferry』, the narrative of the Korean student soldier who returned after applying for this position, was found to overturn the group narrative’s logic and attempt to self-reflect through the logic of supporting the Korean student soldier.The soldier’s excuse to escape is a psychic reaction to break the border between the escaped and the returning soldier . Nevertheless, it is a calling to record them so that the death of the escaped Korean student soldier does not go in vain, and this is revealed in an ambivalent form. The psychology of the Korean student soldier persists in Jirisan, which focuses on the life of the rejected soldier,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self-criticism is being triggered. However, even before self-reflection and criticism secured authenticity, the Korean student soldier was transferred to the nation's survivors again before the name of destiny. The novel that was walking a tightrope between self-rationalization and self-criticism, and the fields of self-reflection and self-criticism opened only when it came to 『When the Stars Are Cold N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