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근로자의 과잉자격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과정에서 직무의미 부재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장연구로서 선행연구를 기초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연구모델을 설계하고, 변수 간 인과관계는 다중 및 계층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C-지역소재 기업 관리직 근로자이며 비확률 추출방법 중 편의추출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과잉자격 인식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장가능성에 대한 부재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잉자격 인식은 직무의미 부재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직무만족도는 감소하고 있으며, 성장가능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율성은 과잉자격 인식과 직무만족을 조절하고 있으며 자격불일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잉자격 인식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의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인 태도와 조직행동으로 변화시켜 개인의 성장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by corporate employees' perceived overqualification(capacity mismatch, growth potential),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employees' job significance.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variable as followings; Corporate employee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ce variable established, job satisfaction as the result variable, job autonomy as moderator and then, job significance as mediator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variable inter-relationship, both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ing analysis were used. 140 corporate employees currently on service in K-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loyee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nega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Second, job autonomy ha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in our research model. Finally, the employees' job significance has a medi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