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소매업태 시장에서 나타나는 2가지 형태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소매업태 시장에서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소매업태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대형 소매업태와 영세 소매업태 간의 경쟁관계를 파악하고, 다음으로 영세 소매업태 시장 내의 경쟁관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4개 일반 슈퍼마켓의 일별·상품군별 매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형 소매업태와 일반 슈퍼마켓 간의 경쟁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의무휴업일’과 전통시장과 일반 슈퍼마켓 간의 경쟁관계를 파악 할 수 있는 ‘5일장 서는 날’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대형 소매업태가 영업을 하지 않는 날 일반 슈퍼마켓의 대부분의 상품군에서 매출 증가가 나타났다. 반면, 인근 지역에 전통시장이 열리는 5일장 서는 날에는 일반 슈퍼마켓의 수산, 정육, 채소류, 과일류의 매출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슈퍼마켓은 대형소매점의 충분한 대체제가 될 수 있으나, 전통시장은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형유통업에 대한 규제 효과가 영세 소매업태 간에 고루 분배되고 있지 않음을 파악하였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책적·실무적 조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substitution relationship in the retail markets, in which large-scale retailers and small-sized retailers are competing. We examine the differential competition patterns by product category and find out the reason why the regulation on large-scale retailers have not effectively helped traditional markets. Point of sales data from four different small-sized supermarkets was used. The exogenous changes, such as the mandatory closing regulation and the 5-day market opening, are employed to identify the competition patterns in the market. We estimate the changes in each product category’s sales derived from the exogenous changes and then figure out the substitution relation between types of retailers.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 that the small-sized supermarkets show the sales increase in all product categories but alcoholic beverages when large-scale retailers close by the regulation. When traditional markets open near the supermarkets, sales in fresh foods such as fishery, meat, vegetables, and fruits decrease. Therefore, a small-sized supermarket can be a substitute for large-scale retailers, while a traditional market cannot. This implies that small-sized supermarkets are still threatening competitors to traditional markets even though large-scale retailers exit from the market due to the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