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60~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 소설 속 일본어 텍스트 번역을 중심으로 당시의 세대·계급·이념 등을 둘러싼 사회갈등 양상과 한국(인)의 정체성 및 주체성 사유를 분석한다. 대상 텍스트는 박연희(1918~2008)의 「탈」(1973), 이문구(1941~2003)의 「월곡후야」(1977), 김원우(1947~)의 「아득한 나날」(1989), 최영미(1961~)의 『청동정원』(2014), 류동민(1964~)의 『기억의 몽타주』(2013)이다. 이 작품들은 1960년 4.19 이후의 일본어 텍스트 번역 재개와 한일협정 이후 한일관계의 개선으로부터 1987년 민주화운동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시기까지를 배경으로, 다양한 성격의 일본어 텍스트의 국내 번역을 중요하게 다룬다. 「탈」은 박정희 정권 당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둘러싼 갈등을 보여주고, 「월곡후야」에서 1960년대 교육을 받은 ‘국문 세대’는 여전히 식민지 경험에서 벗어나지 못한 무기력하고 비생산적인 ‘기성세대’를 축출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발전과 민족적 순수성을 꾀한다. 반면 「아득한 나날」은 겉으로는 민족의 창의성과 찬란한 문화를 내세우면서 정작 당대 사회에 필요한 지식과 대중이 요구하는 읽을거리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한국의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하며, 『청동정원』과 『기억의 몽타주』에서 ‘일본어 텍스트 번역’은 지배체제에 대한 저항과 변혁을 위한 행동이 된다. 이러한 궤적은 일본어 텍스트 번역에 대한 맹목적 거부에서 벗어나 그것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이면서, 민족에 대한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정체성을 사유하게 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당시 사회에 대한 입체적 이해와 오늘날 한국문화가 보여주는 ‘창조성’을 역동적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of social conflicts over generations, classes and ideologies of society at the time, as well as the reasons for Koreans' identity through examining self-consciousness on translating Japanese text in Korean novels set in the 1960s-1980s. The texts are “the Mask(1973)” by Park Yeon-hee(1918-2008), “WolgokHuyah月谷後夜(1977)” by Lee Mun-gu (1941-2003), “Deadly Days(1989)” by Kim Won-woo (1947~), Montage of Memories(2013) by Ryu Dong-min (1964~), and Bronze Garden(2014) by Choi Young-mi(1961~). These works, set in from the improvement of Korea-Japan relations after the 1965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to the 1987 pro-democracy movement, deal with the Korean translation of Japanese texts. "The Mask" illustrates the social conflict over Japan's influence dur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Generation," educated in the 1960s in "Wolgokhuya," seeks to develop the local community and national purity by ousting the lethargic and unproductive "older generation" who a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coloni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Deadly Days” recognizes the reality of Korea, which fails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reading material required by the public in the society, while "translating Japanese Text" in the Montage of Memories and Bronze Garden becomes an act to resist and transform the ruling system. This trajectory can be seen as a process that deviates from the blind rejection of translating Japanese text and secures a distance to look at it objectively, as well as a process of thinking about identity away from the view of nationalists. Analyzing self-consciousness about translating Japanese text will contribute to a deep understanding of society at the time and explaining the "creative nature" shown by Korean cultur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