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인환의 ‘장미의 온도’는 스펜더의 ‘태양’의 ‘장미’와 대비함으로써 구체적인 특성이 드러난다. 단적으로,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에서, ‘장미의 온도’를 공통제목으로 한 박인환의 시편과, ‘태양’의 ‘장미’를 지향하는 스펜더의 역시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스펜더의 ‘태양’과 ‘장미’는 현실로부터 꿈꾸는 세계를 향해 ‘매개’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만, 박인환의 ‘태양’과 ‘장미’는 있어야 할 세계 혹은 그 속의 존재일 뿐, 그가 처한 현실과는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두 사람의 ‘태양’과 ‘장미’는 그들이 지향하는 세계 혹은 그것을 구현하려는 시민들의 노력을 의미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구체적으로, 박인환의 ‘붉은 간나의 꽃’과 스펜더의 ‘밟혀진 데이지꽃’은 모두, 시민들의 합창이 들리는 새로운 도시를 꿈꾸는 시민들의 희생과 노고를 뜻한다. 즉 박인환의 ‘붉은 간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제국주의국가에 의해 오랜 세월 핍박받아온 피식민민족의 해방을 향한 노력을 독려하고 새로운 나라 건설을 향한 의지를 고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펜더의 ‘데이지꽃’은 세계공황과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도시노동자들의 헐벗은 삶을 고발하고 빈부차가 심한 부조리한 현실을 개혁하고자 한 노동자들의 투쟁의 의지를 기리는 역할을 한다. 스펜더의 ‘태양과 장미’는 ‘꽃들의 명’ 즉 당대 사회주의 노동운동가들의 ‘단일한 정신’을 아로새긴 ‘의도의 기’로 형체화된다. ‘의도의 기’는 ‘어떤 사람도 공평하게 소비해야 한다’는 것과 ‘인간은 인간이어야 한다’를 새기고 있다. 한편, 박인환의 ‘의혹의 기’는 ‘장미의 온도’의 세계로부터 떨어져 있다. ‘의혹의 기’는 ‘주검과 관념의 거리를 알리’고 있으며 ‘중간의 면적에’서 ‘떨고 있다’. 스펜더의 ‘의도의 기’는 ‘흠모받는 그들의 욕망’ 혹은 세상을 위해 죽는 ‘가장 뛰어난 사람들’ 즉 ‘꽃들의 단일한 정신’을 경외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박인환의 ‘의혹의 기’는 ‘비행기의 폭음에 귀가 잠기’고 ‘친우들의 죽음’을 목도하는 상황에서 ‘부단한 자유의 이름’으로 ‘파멸한다는 것은 얼마나 위대한 것이냐’하고 고뇌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스펜더가 ‘혁명가’를 관찰하고 찬탄하는 ‘경외자(敬畏者)’의 형상이라면 박인환은 전쟁의 폐허에서 고통을 토로하는 범인(凡人)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새로운 향방을 모색하는 ‘선구자(先驅者)’의 형상을 하고 있다. 스펜더가 ‘전쟁이 개인에게 얼마만한 고통을 주고 있는가’에 단일하게 초점을 맞춘다면, 박인환은 ‘제국주의적 구도가 우리민족의 삶에 어떻게 존속되고 있는가’에 복합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스펜더의 관심영역이 노동자 해방과 빈부격차고발과 사회주의 사회건설에 놓여 있다면, 박인환의 관심영역은 제국주의에 반대하고 해방 후에도 부조리 속에 놓인 우리민족의 현실과 그 향방에 관한 것이다.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of roses’ written by Park in-whan can be seen through comparing it with ‘roses’ of ‘the sun’ in Spender’s poetry. Simply put, Park’s poems under one title as the ‘temperature of roses’ in 『new city and chorus of citizens』 and his translated poems of Spender’s poems which are aiming for ‘roses’ of ‘the sun’, are typical examples. However, ‘the sun’ and ‘roses’ of Spender continue from reality to aiming world by ‘intermediation’, but those of Park do not continue to his reality. ‘The sun’ and ‘roses’ of Park are just a world that should be exist or existences in that world. Nevertheless, ‘the sun’ and ‘roses’ of two poets have a common feature that those mean the world for which citizens are aiming or citizen’s endeavor to try to embody that world. Specifically, the ‘flower of red cannas’ of Park and the ‘trampled daisy’ both mean the sacrifice and endeavor of citizens who are aiming for new city where citizens sing in chorus. That is to say, Park’s the ‘red cannas’ encourages pressed people in colonized countries for a long time such as Indonesia, Malaysia and also Korea to try to get liberation and stimulates them to construct new country. Meanwhile, Spender’s ‘daisy’ applauds the struggling intention of labors who are trying to report ragged life of urban labors and to reform irrational reality, extre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pender’s ‘the sun and roses’ is embodied as the ‘flag of intention’ engraved by the ‘order of flowers’, ‘homogeneous spirit’ of labor agitators. Two sentences, ‘everyone can consumes impartially’ and ‘human must be a human’, are imprinted on the ‘flag of intention’. Meanwhile, the ‘flag of suspicion’ is far away from the world of the ‘temperature of roses’. Spender’s ‘flag of intention’ shows itself by respecting ‘their admired desire’ or ‘the most excellent people’ who are dead for the world, that is say the ‘homogeneous spirit of flowers’. The ‘flag of suspicion’ of Park shows itself by anguish as saying that ‘being destructed is so great’ in the state of ‘ear locking by sonic boom’ and ‘witnessing deaths of friends’. In other words, when we say that Spender is an ‘admirer’ who observes ‘revolutionists’, Park is a ‘pioneer’ who observes man in the street who expresses anguish in the ruins of war and seeks their new destination. That is to say, Spender simply focuses on the fact that ‘war brings suffering to individuals’, Park complexly focuses on the fact that ‘how imperialistic system continues in Koreans life’. When we say that Spender’s interests are liberation of labors, reporting extre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constructing a socialist state, Park’s interests are opposing imperialism, Koreans’ reality and destination in irrationality even after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