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근대 초기 자선 담론의 맥락에서 신소설의 우연성 및 여성 표상의 양가성을 분석한다.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등과 같은 매체에서 여성 자선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기부부터 여성 교육까지 층위도 다양하다. 당대 자선 담론은 유교적 미풍양속, 기독교 박애정신 등의 영향 속에서 국민 계몽의 논리로 전유되었다. 구제와 자선이 형상화된 신소설의 우연 구조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하면서도 차이를 보인다. 자선에 대한 이상적 관념이나 대중적 환상은 신소설 광고, 신소설 속 여성의 재현 양상에서 두드러진다. 근대 초기는 자선이 개인의 성품 차원에서 벗어나 국민의 문명화를 도모하는 공공성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시기였다. 이 연구는 당시 미디어가 국가주의, 기독교 정신, 여성 교육 담론을 전유해 여성의 자선을 계몽의 논리로 변용하는 현상을 분석했다. 그 맥락에서 신소설에 빈번히 등장하는 자선과 구제의 사건에 의미 부여했다. 이를 통해 우연으로 간주되었던 여성 구제의 서사가 사회·문화적으로 독자를 계몽하고, 서사적 핍진성과 흥미를 획득하는 작가적 전략이었음을 드러냈다. 그리고 신소설 작가들이 이를 통해 독자의 도덕 감정을 자극했으나, 역으로 여성을 자선의 대상으로 구별 짓고 타자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점도 언급했다.


In the context of discourse about charity in early modern times, this study analyzes contingency and ambivalence of women as a symbol expressed in ‘Sinsoseol’. We can see the fact that charity done by women increased and had various kinds, from donation to education for women, through the media like Jekuksinmun, Daehanmaeilsinbo, Maeilsinbo. The charity discourse of those days was appropriated for a kind of logic of people enlightenment under the effect of Confucian custom and Christian benevolent spirit. Coincidence in ‘Sinsoseol’, in which aid and charity had been described, expresses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those day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Ideal concept or public fantasy for charity was remarkable especially in the advertisements of ‘Sinsoseol’ and the ways of expressing women in ‘Sinsoseol’. In early modern times, the charity concept had changed from a personal property to publicity concept that is intended to promote people’s civil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henomenon in which media in those days had transformed the charity culture to the logic of enlightenment by appropriating nationalism, Christian spirit and educational discourse about woman. And in that context this paper finds meaning from the incidents of charity and aid which had frequently happened in ‘Sinsoseol’. With this process this paper reveals that descriptions about aids for women, which were considered as a contingency, are the strategies of writers which were intended to enlighten readers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attain reality of their works. And this study has also mentioned that the writers of ‘Sinsoseol’ had stimulated the morality of readers in one hand but had distinguished women as an object of charity on the other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