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총력전(1938-1945) 시기 출판된, 조선 작가들의 만주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은 주로 조선 남성 엘리트를 이분법적이고 남성 우월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한설야의 『대륙』(1939), 재만 조선 작가들의 『싹트는 대지』(1941), 이기영의 『처녀지』(1944)는 일본 혹은 조선의 남성 엘리트들을 만주를 문명화하고 근대화하는 주체로 묘사하는 반면에, 만주의 여타 민족들은 주로 무지하고 문명화가 안 된 여성으로 묘사한다. 1932년을 배경으로 한 『대륙』은, 민간의 힘으로 실현되는 ‘오족협화’에 대한 이야기로, 어릴 때부터 조선인 마을에서 성장한 일본인 하야시가 대학과 병역을 마친 후 조선인들과 협력하여 농산 복합체 성격의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고, 일본인 재벌 아들과 만주 호족의 딸이 힘을 합쳐서 항만/항일 조직을 분쇄하고 결혼하는 것을 묘사하였다. 『처녀지』(1944)는, 의사인 만표가 조선인 부락에서 ‘근대화’와 ‘왕도’라는 만주국의 이념을 실현하는 데에 헌신하는 것을 묘사하고, 조선인이 건강한 국민으로서 일본 군대에서 훈련을 받게 된다면 마적으로부터 자력 방어가 가능한 자급자족의 공동체를 건설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였다. 『싹트는 대지』(1941)에 수록된 「초원」과 「밀림의 녀인」은 만주국의 지방 관료 그리고 만주국 협화회 지부의 간부였던 두 작가의 생활을 투영한 작품으로, 문명/야만이라는 이분법하에서 조선 엘리트들이 야만적인 만주의 여성들을 계몽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서 표현된 남성 우월적이고 이분법적인 문명화 담론은 서양이나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계몽주의’를 모방한 것이었다.


Korean writers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working in Manchukuo(滿洲國) as a pioneer and modernizer who devoted his life to reforming Manchuria with advanced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medical science, agriculture, etc. Contrarily, the writers portrayed Manchuria as a primitive and ignorant female asking him for help about her development. Han Soel-ya’s Daelyuk [The Continent] (1939), Ssakteuneun daeji: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of Korean Writers in Manchuria [The Sprouting Land] (1941), and Yi Gi-yeong’s Cheonyeoji [The Virgin Land] (1944) all characterized Koreans who collaborated with Manchukuo’ policies as the cultured male elite, while indigenous ethnic groups in Manchuria were seen as the uncultured and uneducated female. Ssakteuneun daej and Cheonyeoji depicted that male Koreans developed Manchuria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ed the Manchurian people. Daelyuk described that the male elite applied his military expertise and entrepreneurship to build the new type of community based on agro-industrial complex. These stories commonly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as the pioneer burdened with a mission to develop Manchuria and civilize the Manchurian people. In conclusion, the enlightenment ideology based on the dichotomy and male chauvinism in Korean writer’s literature with a Manchurian setting copied the idea of ‘colonial enlightenment’ being intrinsic to western and Japanese 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