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 Adolescent stuttering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a child who stutters and that of an adult who stutters. A treatment techniq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dolescents’ stuttering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and the necessity of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for SLP. Methods: A questionnaire on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was conducted for 162 SLPs (42 males, 120 females).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responses for each question was presented, and Chi-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qualification levels. The importance was answered on a 7-point scale, and the average for each question was presented. Results: The SLPs answered that their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experience was 44.44% and that there were many male SLPs and first-level SLPs. SLPs said that the adolescent stuttering interventions approached differently compared to adult stuttering interventions were 87.04%, and SLPs with experience in adolescent stuttering interventions responded at a higher rate.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of the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factor were as follows: mind treatment, parent treatment, teacher treatment, intrinsic, and extrinsic treatment factor. Overall, the importance was rated high.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adolescent stutter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tuttering will continue.


목적: 청소년 말더듬의 특성은 아동이나 성인과는 다르다. 따라서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언어치료사들의 청소년 말더듬 중재의 현황과 인식, 청소년 말더듬 중재 프로그램에 포함될 요소들의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국내 언어재활사 162명(남 42명, 여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 말더듬 중재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문항의 응답수와 백분율을 제시하였고, 성별, 자격급수에 따라 청소년 말더듬 중재 경험의 차이와 청소년 말더듬 중재 경험 유무에 따른 청소년 말더듬 중재의 필요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 말더듬 치료 요소들의 중요도는 7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고, 대상자들의 평정결과의 평균을 제시하였다. 결과: 국내 언어치료사의 청소년 말더듬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는 44.44%였고, 남자 언어치료사들의 청소년 말더듬 중재 경험 비율이 여자 언어치료사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1급 언어재활사들의 청소년 말더듬 중재 경험 비율이 2급 언어재활사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87.04%의 언어치료사는 청소년 말더듬 중재가 성인 말더듬 중재와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특히, 청소년 말더듬 중재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들이 중재 경험이 없는 언어치료사들보다 동의하는 응답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말더듬 중재 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 결과는 마음 중재 요소, 부모 중재 요소, 교사 중재 요소, 내면적 특성 중재 요소, 외현적 특성 중재 요소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높게 평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언어치료사들의 청소년 말더듬 치료 현황을 보았고, 청소년 말더듬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 말더듬 중재 요소들 중 특히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내용들을 중심으로 청소년 말더듬의 특성에 맞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