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불교문화재연구소의 사찰 목판 일제조사 보고서를 기준으로 사찰 소장 목판의 현황을 검토하고, 그 토대 위에 사찰 소장 목판의 서지 및 불교문헌학적 의의, 나아가 역사․문화적 의의를 사례를 중심으로 시론하였다. 전국 사찰 소장 목판은 불교문화재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783종 27,171판이며, 추가 조사가 예정되어 있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사간장 고려시대판 52종 2801판, 14-15세기 6종 647판, 16세기는 21종 356판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목판의 소장처는 시대의 추이에 따라 원소장처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의 중심 사찰을 중심으로 목판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목판의 주제별 분류에 따르면, 경․율․논장이 다수이지만, 조선시대 불교 전존 목판의 다수는 불교의례나 의식과 관련된 주제 및 내용에 해당한다. 목판을 소장하고 있는 지역별 소장 사찰수는 101개소이며, 목판 783종 가운데 간행처를 알 수 있는 것은 177개 사찰의 326건이며, 457건은 간행사항이 분명치 않다. 사찰 소장 목판의 서지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판목의 판각정보를 통하여 무간기본의 간행시기를 알 수 있고, 입목이나 보각 등의 내용 개변을 확인할 수 있다. 목판과 판본은 보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서의 정본화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불서의 간행 체계와 인쇄문화를 알 수 있는 정보가 판목에 있다. 고려시대 목판은 고인쇄기술과 문화를 전하는 한편 국내외 유일본 목판이 전존하고 있어 불교문헌학적 의의가 크다. 이에 비해 조선시대 목판은 한국 찬술과 불교의례, 언해류, 다라니류가 다수이며, 이는 한국불교사상과 신앙의 성립과 전개를 알 수 있어 가치가 있다. 사찰 소장 목판은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교류의 상황을 전하는 것이 전존한다. 목판의 판각정보인 각수명을 통하여 시기를 확정하고, 판각의 시대상황과 불교 사상경향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목판은 불교의 교학과 실천, 그리고 신앙의 전승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한편, 조선시대 목판 조성은 교학과 강학만이 아닌, 경전 판각에의 결연이 정토왕생의 행업과 작선으로 전개되면서, 소수에서 다중의 참여가 가능한 방향으로 확대되는 불교문화의 새로운 양상이 확인된다. 향후 사찰 소장 목판은 인쇄기술이나 판각 예술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고, 인쇄출판물을 보관하는 경장이나 장경각이라는 건축문화와도 연관되어 있다. 향후 목판과 관련 분야를 종합하면 한국의 불교문화 나아가 전통문화를 심화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Woodblocks of temples based on the report of the Woodblocks at the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below, RIBCH), and discusses the bibliographic and Buddhist literar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Woodblocks of Buddhist temples. According to the survey of RIBCH, the Woodblocks of national temples are 27,171 of 783 titles. Haeinsa(海印寺)'s woodblocks, such as Korean Tripitaka and saganjang(寺刊藏)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woodblocks are often sto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woodblocks tend to be concentrated around the central temple. According to the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woodblocks, although it is Gyeong(經), Yul(律), and rON(論), many of the woodblocks of Buddhists in Joseon Dynasty correspond to the themes and content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There are 101 temples that own woodblocks, 326 titles of 177 temples have publications, and 457 titles are unclear. Aa for the bibliographic significance of the woodblocks of the temple, Woodcuts and editions are complementary and can be the basis for authenticity of the Buddhist Books. The woodblocks contains information on the publishing system and printing culture of Buddhist books. The woodblocks of the temple conveys the situation of the exchange of East Asian Buddhist culture. Woodblocks can be found in the times of engraving and the Buddhist trends. Woodblocks are also an indicator of Buddhism's teaching, practice, and tradition. Combining woodblocks and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will help to deepen and creatively inherit Korean Buddhist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