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5세기 正統-景泰-天順시기(1436~1463), 명나라 관요 생산의 침체기였던 暗黑期(혹은 空白期)때 명과 조선의 도자교섭에 관한 것이다. 1447년 명나라가 자기 무역 일체를 금하면서 조선도 중국과의 자기무역을 금하지만, 조선시대 유적에서 암흑기로 추정되는 경덕진 청화백자가 출토 확인되어 문헌기록과 다른 정황이 확인된다. 암흑기 때 명을 통한 공식적인 자기 유입은 문종즉위년인 1450년, 즉 경태원년(景泰元年) 단 한 차례이다. 이때 명 사신을 통해 진상된 암흑기의 자기는 상당한 수량으로 당시 황위를 둘러싼 불안정안 명 조정과 환관정치가 극에 달했던 정황, 그리고 양국의 기록에 명 황제의 하사품이라 언급되지 않은 점을 토대로 명 사신이 개인적으로 조선 국왕에게 진상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문종즉위년 이후, 명 황실을 통한 자기 유입의 기록이 전무한 것은 암흑기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암흑기 자기는 경태~천순시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있어, 문종즉위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목되는 점은 이 시기 일본과 류큐를 통해 상당수의 명 자기가 조선으로 유입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익히 알려진 용천요 청자 외에 백자 및 청화백자도 포함하고 있으며, 품종을 알 수 없는 자기도 최대 1천점이 한꺼번에 진상되는 것으로 보아 암흑기 명 청화백자는 일본과 류큐를 통한 제 2의 경로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오늘날 일본과 류큐 유적에는 암흑기 청화백자가 다수 출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흑기 자기와 동반 출토된 명 청화백자의 편년대가 15세기 후반~16세기에 분포되거나, 암흑기 이후인 성화년간(1465~1487)부터 본격적으로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동시기 유입이 아닌, 사무역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15세기 3/4분기 이후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렇다면, 16세기 조선관요에서 15세기 편년의 명대 자기가 출토된 사실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경로와 뒤늦은 시기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암흑기 자기는 조선관요 백자 제작에도 영향을 미쳐, 전기 청화백자에 암흑기 자기의 양식적 특징이 확인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rade of Porcelain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ZhengTong(正統)-JingTai(景泰)-TianShun(天順)(1436~1463) in the 15th century and the Interregnum Period of official kiln in the Ming Dynasty. In 1447, the Ming Dynasty banned Porcelain trade, and Joseon prohibited Porcelain trade with the Ming Dynasty. However,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of Jingdezhen, believed to be in the Interregnum Period, was excavated from the historical site of the Joseon Dynasty, confirming the literature records and other circumstances. The official influx of ceramics through the Ming Dynasty during the Interregnum Period is only the first year that King Munjong(文宗, 1450~1452) took the throne in 1450.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delivered through Ming Dynasty envoys is a considerable amount. However, raised the possibility that envoys of the Ming Dynasty personally gift the Porcelain to the Joseon k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cords of the two countries were not mentioned as imperial gifts of the Ming Dynasty along with the unstable situation of the Ming Dynasty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litics of the endoscope was at its pea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gnum Period, it wa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no record of any record through the imperial family of the Ming Dynasty since the year when King Munjong first took the throne. Besides, the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excavated from the historical site of the Joseon Dynasty show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JingTai(景泰)-TianShun(天順) period, indicating that it has been continuously introduced since 1450. Noteworthy is that during this period, Porcelain from the Ming Dynasty often flows into Joseon via Japan and Ryukyu.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Longquan celadon (龍泉靑瓷), it also contains white porcelain and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since up to 1,000 Porcelain pieces of unknown variety have been presented at on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have flowed into the second route through the Ryukyu with Japan. In fa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number of blue-and-white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have been excavated from Japan and the Ryukyu historical site.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production in Ming Dynasty, excavated with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was distributed in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Excavated with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the Ming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late 15th and 16th centuries.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was excavated in earnest from the reign of the ChengHua(成化, 1465~1487) it would not have been int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ther words, it is likely that personal trade has flowed in since the third quarter of the 15th century when it began to increase. If so, it may also be understood that Ming Dynasty Porcelain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was excavated from the Joseon official kiln of the 16th century. Porcelain from the Interregnum Period, which is likely to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channels and late periods, also affects the production of the joseon official kiln white porcelain, and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Porcelain of Interregnum Period are identified in the electric purifying white porce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