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질적연구는 성소수자 청년의 핵심적 삶의 과제인 ‘커밍아웃’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심층면담과정에서 9명의 성소수자 청년들이 구술한 커밍아웃의 정의들을 종합하면, “커밍아웃은 성소수자 스스로의 의지와 선택에 따라 솔직하고 거짓 없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타자에게 드러내고 알리는 사건이자 과정” 이다. 이 정의에 반영되어 있는 5가지 차원의 커밍아웃 과제는 ‘자기결정과 선택’, ‘솔직함과 진실됨’, ‘성정체성에 대한 자기 인식’, ‘사회적 소통과 인정 및 저항, ‘사건이자 과정’ 임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성소수자 청년의 커밍아웃은 ‘성정체성 긍정화과정’을 통한 ‘자아찾기’라는 성소수자 고유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만, 보다 본질적으로 3가지의 비전 및 방향으로, 1) ‘대상에서 주체로(object to agent)’, 2) ‘자기부정에서 자기긍정으로(self-denial to self-positivity)’, 3) ‘침묵에서 목소리로(silence to voice)’, 성소수자 청년 스스로 삶의 행복을 설계하고 성취해나가는 것이다. 내부자관점에 근거하여 커밍아웃의 총체적 의미에 관한 이론적 모형과 성소수자청년들의 발달적 성장을 돕는 사회복지실천이 제안되었다.


Th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oming out as a major life task of sexual minority youths. To summarize 9 sexual minority youths’ definitions of coming out reported in an in-depth interviewing process, “Coming out refers to an event or a process which sexual minorities honestly and willingly reveal/inform their sexual identity by recognizing/accepting their sexual identity.” The tasks in the 5 dimensions reflected on the definition above follow as;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honest and truthful’, ‘self-awareness of sexual identity’, ‘social dialogue, recognition and resistance’, and ‘an event or a process.’ Ultimately sexual minority youths perform their unique tasks of ‘self-realization’ by ‘making a sexual identity process positive’, but more essentially, they design and accomplish their own happiness by looking forward to three visions/directions: 1) ‘object to agent’, 2) ‘self-denial to self-positivity’, 3) ‘silence to voice.’ Suggestions include a theoretical model of a total meaning of coming out and social work practice for sexual minority youths to support their developmental growth based on the insider’s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