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의 ‘시무개혁 세력’은 정조대 북학의 맥을 잇는 개혁적 성향의 관료집단이다. 이들은 공공정치의 암흑기로 설명되는 세도정치기부터, 급변한 대내외적 환경이 밀어닥친 개항기까지, 세대를 넘어 시대적 현안 해결을 위한 보수적 개혁을 이끌었다. 박규수를 중심으로 한 선배 세대는 국가 제도와 민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철종대 농민항쟁의 위기에 대처하였으며, 민본의식을 기반으로 한 민생 안정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조선이 근대적 세계 체제로 나아가는 개항의 현장에서 서구식 개념과 다른 부국강병 개념을 설정하였고, 이 역시 민생 안정의 목표와 맞닿아 있었다. 또한 어윤중을 중심으로 한 후속 세대도 국가공동체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 기반으로 부국강병 개념을 설정하였는데, 팽창적 군사력을 배제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세대를 관통하는 일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후속 세대는 농민에게 여전히 국가 재정의 대부분을 부담시키는 기존의 사회 구조와 세금 부과 방식은 변화된 현실 속에서 더 이상 유효하지 못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새로운 개혁론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부강을 위한 방법으로 농민에 대한 세금을 과감히 면제해주는 한편, 새로운 세원으로 제조업과 운송업을 육성하고 통상을 발달시켜 국가를 안정시키는 방안을 추구하였다. 민생 안정과 평화 유지라는 기본 가치는 선배 세대와 공유하고 있었지만 개혁의 방법론에 있어서는 급변한 대내외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시무개혁 세력은 동일한 문화적 기반 위에 세대를 이어 전통적 가치를 계승하였으며, 동시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주어진 현실 상황에 맞추어 단계별로 시무개혁론을 계승, 발전시켰다.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 (Shimugaehyeok Seryeok) in the 19thcentury was reform-minded bureaucracy which carried on the legacy of Northern Learning from Jeongjo’s Reign. They led conservative reforms to solve periodic pending issues over many generations from the era of in-law government(sedo chŏngch’i), which is seen as the dark ages of public politics, to the open-port period which led to internally and externally rapid changes. The senior generation, where Park Gyu-su was at the center of power, coped with the crisis of a peasant resistance movement (nongmin hangjaeng) with trust in the government system and the people, and sought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based on a people-oriented consciousness. They set the new concept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which is different from a western concept, in the historic scene of Joseon’s moving forward to the modern frame of world in the open-port period. This, as well, was targeting the goal of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The succeeding generation, where Eo Yun-joong was at the center of power, also set the concept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based on strong trust in the state community. Both generations had consistency in transcending generations in that they excluded extensive military power. However, the succeeding generation sought new reforms while recognizing that the preexisting social structure and tax system, which laid most of the fiscal burden on farmers, could not be effective anymore in the changed situation. They pursued new stabilizing methods for the state’s wealth and power that could foster manufacturing and transport industry and develop commerce with a new source of taxation, resolutely waiving farmers’ tax. Even though they shared the basic values of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peacekeeping with the senior generation, they tried to change there form methodology according to rapid domestic and foreign changes.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himugaehyeok Seryeok) carried on traditional values based on the same cultural footholds over generations, and at the same time inherited and developed reforms step by step according to new realistic situations after the change of the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