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일반간호사의 임금격차를 파악하고 표준임금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방법: 첫째, 일반간호사의 임금격차에 대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둘째, 임금격차는 상대지수로 측정하고, 표준임금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였다. 결과: 표준임금 가이드라인을 운영하는 영국, 호주, 독일의 일반간호사 임금은 임상경력과 전문성에 의해 결정되며, 임금격차는 1.3~1.6배 내외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일반간호사의 임금에 대한 모바일 설문조사 결과 일반간호사의 월임금은 최대/최소 비가 4.5배로 나타났으며, 지역, 의료기관 종별, 병상규모, 근무병동 등에 따른 임금격차가 존재하였다. 표준임금 가이드라인의 일반원칙에 근거하여 지수모형과 선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일반간호사의 임금격차가 완화됨을 보여주었다. 결론: 일반간호사를 위한 표준임금 가이드라인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병원에 시범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간호사의 이직감소와 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ursing salary guideline for Korean hospitals.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a mobile survey were conducted regarding staff nurses’ salary. Regression analysis and simulation model were applied to develop the nurses’ salary guideline. Result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Germany have standard salary guidelines which demonstrated the standard salary of nurses. These were determined mainly by nursing experience and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mobile survey indicated that the maximum to minimum ratio of the salary was as high as 4.5 among staff nurses working in Korean hospitals. Two models (exponential and linear) for a standard nursing salary guideline were developed an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d an improved salary structure for staff nurses. Conclusion: This developed salary guideline for staff nurses is recommended to be applied in Korean hospitals which provide total nursing car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