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반도와 류큐열도의 교류와 교역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야광패 국자와 ‘계유년고려와장조(癸酉年高麗瓦匠造)’ 날인 기와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직접적인 두 지역 간의 교류와 교역 관계는 14세기 이후에 나타나지만, 14세기 이전에도 두 지역 사이에 있는 규슈 및 일본을 사이에 두고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에서 류큐열도의 오키나와까지는 그 사이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섬과 섬의 가시거리를 따져보면 왕래 가능한 지리적 환경이었다. 그러나 두 지역 사이의 직접적인 교류・교역 관계는 14세기 무렵에 류큐열도 오키나와의 류큐 주잔 왕국이 성립할 때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직접 교류는 류큐열도에 국가적 조직이 성립됨에 따라 시작된 것이다. 본론에서 언급한 야광패 국자 유물 분석은 류큐열도에 국가조직이 성립되기 이전 단계에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교역 방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야광패(夜光貝) 국자의 운반에 관련된 류큐열도에서 한반도까지의 이동 경로나 이를 담당했던 사람이나 집단에 대해서는 가설적인 논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를 실증할 사료와 자료가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다. 향후에는 류큐열도의 야광패 국자 유물에 대한 실태 규명과 한반도의 야광패 국자 출토 사례를 재검토하는 동시에 일본 규슈에서 유사자료 유무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와 교역 관계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일본, 나아가 일본열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교역 관계를 밝히는 길이 될 것이다.


On the exchange and trad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the research history was summarized and reviewed once again, focusing on the recently talked-about glow-in-the-dark shell ladle and tile, the seal of the “Gyeoyeon Goryeohuajangjo(癸酉年高麗瓦匠造).” As a result, direct exchanges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emerged after the 14th century, but even before the 14th century, they continued to be made by reprinting Kyushu and Japan between the two regi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Okinawa on the Ryukyu Islands, it was a possible geographical environment to travel between the two neighboring islands and islands. However, direct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did not exis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Ryukyu Zhujan Kingdom in Okinawa, Ryukyu Islands, around the 14th century. Direct exchange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organization on the Ryukyu Islands. The analysis of the glow-in-the-dark shell ladle relics mentioned in the main issue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e exchange and trade method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at the pre-establishment stage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on the Ryukyu Island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and data to prove the people or groups in charge of glow-in-the-dark shell ladle, and the route of travel from the Ryukyu Islands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relics of the Ryukyu Islands' luminous ladle and to review the cases of the excavation of the Ryukyu flagpole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conduct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existence of similar data in Kyushu, Japan. This could reveal not only the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but also the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s well as between the Japanese and Ryukyu Is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