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굴을 벗어나 최종적으로 좋음의 이데아를 본 사람은 높은 곳에서 지내기를 열망하면서 인간사에는 마음 쓰고 싶어 하지 않는 것으로 『국가』의 소크라테스는 설명한다. 그러나 그 사람은 거기에 머무를 수 없고 다시 동료들 사이로 돌아와서 통치를 하도록 강제 당한다. 양쪽 세계에 모두 익숙한 철학자가 통치를 해야 동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모두에게 이익을 주고 결과적으로 행복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철학자 자신은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하기에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통치를 하도록 강제 당하는 철학자가 과연 행복할 수 있는지의 문제에 대해 지금까지 1)철학자는 통치하라고 강제당하지 않는다거나 2)철학자는 결국 진정한 의미로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 가지가 주된 해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철학자로서 살아가는 시기와 통치자-철학자로서 살아가는 시기가 서로 같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통치를 강제당하는 철학자의 행복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통치자-철학자로 살아가는 기간 동안에는 통치하라는 법의 명령을 따라야 하는 강제를 받지만, 통치자-철학자가 그 기간에는 통치하기를 원하기도 하기 때문에 행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철학자로서 신과 같은 존재로 살아갈 수 있는 기간에는 철학적 활동을 마음껏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통치자로서의 삶을 사는 동안은 궁극적인 행복을 찾지는 않고 자발적으로 통치한다.


According to the Socrates in the Republic, the philosophers, who have seen the form of the Good in the intelligible realm, would be eager to spend their time above and unwilling to occupy themselves with human affairs. They are, however, not allowed to remain there, but are compelled to return to the prisoners in the cave and share their labors and honors by ruling the city. It is because the people in the cave will be benefited and eventually become happy, only when the philosophers care for the others. Nevertheless, are the philosophers, who are not allowed to do what they want to, happy? Two lines of interpretation have been presented: 1) the philosophers are, in fact, not compelled to rule, or 2) the philosophers, who are forced to rule, would not be happy, eventually.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re are two separate periods in the philosophers's lives: on the one hand, living as philosophers, who are allowed to stay out of the cave, and on the other hand, living as the ruler-philosophers, who should remain in the city. While living as the ruler-philosophers, they are not only forced to rule but also do want to rule the city for the sake of all. As long as the ruler-philosopher want to rule while remaining in the city, they are happy to do their own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