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시험 답안 쓰기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서의 시험은 객관식 또는 단답형으로 단순히 외워서 답을 하는 방식보다는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으로 출제된다. 따라서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듣고 시험에서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절한 한국어 쓰기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고에서 교원 대상 설문조사 및 교재 분석 등을 통해서 유학생 대상 시험 답안 쓰기 교육의 현재를 살펴보았는데, 시험 답안 쓰기 교육은 현재 매우 제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그 교육 내용 또한 문제 유형별 답안의 구조와 표현 교수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육이 실제로 외국인 유학생의 시험 답안 쓰기에 도움이 될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또한 외국인과 한국인이 같이 듣는 교양 수업에서 산출된 중간고사 시험 답안의 점수를 비교하여 보았다. 담당교수에 의해 기 채점된 이 자료를 분석해 보니 외국인과 한국인의 시험 답안 쓰기 수행의 차이는 매우 현저하게 컸는데, 이를 통해 지금과는 다른 총체적인 교수 계획의 수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수집된 답안을 다시 질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득점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는데, 답안에 문제에서 요구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답안이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기술되었는지, 논증이 논리적으로 조직되어 설득력을 가지는지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각각의 요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 한국어 쓰기 영역 안에 갇힌 교육이 아니라, 학업 한국어 교육과정 전체에 시험 답안 쓰기 교육 내용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학업 한국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각각의 과목에서 시험 답안 쓰기를 위한 교육 내용이 어떻게 들어가야 할지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esson contents of writing exam answers for international students. Examinations at universities are given in a comprehensive writing manner based on what has been learned rather than in a multiple-choice or short-answer form that can be conducted by simply memorizing something. Therefore, in ord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universities to listen to lectures conducted in Korean and to write answers on the exams, it is necessary to have proper Korean writing skills. However, in this paper,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textbooks, I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for writing exam answer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a very limited way, and the lesson contents was focused on teaching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of the answer for each question type. To find out if this education will actually help international students write exam answers, in this paper, I compared the scores of the answers to the midterm exams produced by the liberal arts classes that foreigners and Koreans take together. Analyzing this data, which was previously graded by the professor in charge, the difference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was very significan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a different overall teaching plan was needed. I also analyzed qualitatively the documents again to find out what are the main scoring factors. Factors such as whether all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problem was included in the answer, whether the answer was accurately described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 and whether the argument was logically organized and convincing are derived. To improve each of these factors, the content of the exam answer writing should be placed in the entire academic Korean curriculum, not in the education trapped within the academic Korean writing area.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how to enter the educational content for writing exam answers in each subject of academic Korean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