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보건계열 학과 대학생들을대상으로 손씻기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조사를 통하여 인식도와 실천도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손씻기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의보건 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응답, 불성실 응답등을 제외한 총 367부의 설문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전공에 따른손 씻기 인식도와 실천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에 대하여서는 사후검증(Post-hoc)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손 씻기에 따른 인식도와 실천도는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일부 보건 계열 대학생의 손 씻기의 인식도는 감염교육 유무 항목에서, 실천도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 계열 학과의특성에 따라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간호학과순으로 손 씻기의 인식도와 실천도가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다. 학년별 특성에서는 손 씻기 인식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없었다. 손 씻기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n some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management of hand washing through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67 questionnaires excluding non-response and unfaithful responses from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in nursing,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survey tool was a Likert 5-point scale self-filled questionnaire that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hand washing awareness and performan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awareness and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hand washing in some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ection education and in all areas except gend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department,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nurs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nd washing awareness in grade characteristic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