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적자극과 시간지각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접근 움직임 지각을 유발하는 확장자극이 지각된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있는가 하면, 감소시킨다는 결과 역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차이가 발생한 원인이 동적자극의 움직임 구현 방식 때문일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1에서는 동적자극의 움직임이 선형변화인 조건과 로그변화인 조건을 비교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동적자극의 제시방법이 지속시간인 조건과 간격시간인 조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선형변화조건과 지속시간조건에서는 확장자극에서 지각된 시간이 증가하였으나, 로그변화조건에서는 확장/축소자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간격시간조건에서는 축소자극에서 시간확장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이런 결과는, 비록, 여러 연구들에서 접근/후퇴 움직임이라는 동일한 상황을 가정하고 실험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양한 과제들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기제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stimuli and time perception have shown conflicting results. There is a consequence that the looming stimuli causes time dilation, while a decrease in the perceived time also ex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such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of dynamic stimulation. In Experiment 1, we compared the linear change condition and the logarithmic change condition. In Experiment 2, we compared the duration condition and the interval condition. As a result, in the linear change condition and the duration condition, the perceived time increased in the looming stimuli. In the logarithmic change condition,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nterval con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 increase perceived time in the receding stim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experimented and discussed assuming the same situation of approaching/receding movement, various tasks may reflect different mech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