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토론 상황에서 특정 관점 하에 주어진 현상을 개념화하고 이를 단어(들)로 표현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휘 능력의 구조를 구체화하고 어휘 능력과 관점 선택의 관계를 논의한 뒤 어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어휘 능력의 구조는 ‘①맥락적 측면: 정확한 맥락 파악 능력’, ‘②전략적 측면: 적절한 관점 선택 능력’, ‘③지식적 측면: 최대한 깊고 많은 스키마(schema)의 형성’, ‘④언어적 측면: 체계적인 어휘 목록과 언어 지식 확충(머릿속사전의 깊이와 넓이 확보)’의 네 요소로 구체화될 수 있었다. 어휘 능력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관점 선택’이었다. ‘관점 선택’은 어휘 능력 자원 특히 스키마나 언어적 지식 같은 요소들을 추출하여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특정 관점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요소는 맥락에 대한 인지적 파악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메타언어적 성찰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의 어휘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Lexical competence basically works in conjunction with communication skills. This paper analyzes how vocabulary skills work in naming and clarifying a given phenomenon in debate situation. The basic educational contents for lexical competence development are 'the correct comprehension of situational context', 'appropriate viewpoint selection ability', 'the maximization of schema', 'organizational vocabulary lists and linguistic knowledge's expansion (depth and width sides). This paper also emphasized that vocabulary education should not be replaced in the way like simply memorizing as much as possible many vocabulary. This paper found that the ability to choose perspectives and contextual contexts is a very important key factor in determining how lexical competence works in discussion situations. And it modified the structure of lexical competence and revealed one aspect of the working aspect of it. Based on this, this paper argued that vocabulary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meta-language ability is necessary. This paper also pointed out that education to foster humanities and increase thinking and creativity can be set as the goal of vocabula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