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전라도의 풍물굿을 우도굿과 좌도굿으로 양분하는 인식이 여전한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 근거로서 ‘기명기’라는 실체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기명기라는 명칭과 그 실체파악이 가능한 곳은 현재 12개 마을이었으며, 이들의 분포지역은 모두 전라도 바닷가(서해안)였다. 또한 전라수영(조선초기)이 있었던 옥구, 그리고 17세기에 들어 새롭게 설치된 거진(巨鎭)으로서의 위도진 관할 제진(諸鎭)과 제읍(諸邑)과도 일치했다. 따라서 기명기는 조선시대 수군과 밀접했던 군악으로서의 성격이 그 본질이며, 이 군악(군고)과 기존의 마을굿 문화가 결합하여 창출된 결과물로 볼 수 있었다. 해민(海民)들이 자신의 마을굿 문화를 바탕으로 군고(기명기)를 수용하여 굿문화의 일환으로 정립․발전․발현․향유했을 개연성이다. 그 근거로서 ① 분포권이 바닷가라는 점, ② 기명기의 분포권은 조선시대 전라우수영 관할과 일치하며, ③ 굿물(기명기) 구성과 굿 내용에 있어 군고와의 친연성이 발견되며, ④ 위도진의 군기물목(軍器物目)에 올라가 있는 기(金鼓旗)․풍물악기(錚․鼓․囉吹)와 기명 및 기명기와의 상관성이 제기되며, ⑤ 음악에서는 군고의 ‘응매깽깽’ 가락과 동일한 가락의 존재, 인사굿, 질굿, 삼채장단의 도입부분, 채굿의 원칙 견지, 장구비중의 낮음, 채버꾸의 존재 확인 등이 가능했으며, ⑥ 도제와 ‘제만집’의 존재 및 ‘제만모신다’는 표현 사용 등이 발견됐다. 이는 기명기와 군고와의 동질성을 증명해주는 주요 근거들이기도 하다. 기명기는 농사나 연희목적과는 무관하게 전투성․향토성(해양성)․대동성․놀이성(스스로 즐기기)이 마을굿을 통해 발현된 군고였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아울러, 어로작업에 동참하는 일굿,동참, 마당밟기와 걸궁 등의 성격을 가지면서 향유돼 온 풍물굿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처럼 전라도에는 우도굿이나 좌도굿 이외에도 기명기가 존재했으며, 또한 존재한다. 또 다른 풍물굿의 존재에 대한 확인 작업과 더불어 기명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This thesis starts on the question, "Are there just two types of Pungmul-Kut, in Jeollado, Udo-kut and Jwado-kut? The answer is "No", because there is Gimyeonggi. The name and existing of Gimyeonggi was found in 10 villages where are located on Jeollado. Also, these villages match up with Ok-gu, where Jeolla-Suyeong is in, and Jejin, Je-eup which were appointed as new Geojin. Therefore the nature of Gimyeonggi is the martial music(Goon-go) that is close to marine of Chosun. The Goon-go and the culture of existing Maeul-kut, combine to Gimyeonggi. People who live near coasts might adopt Goon-go, (Gimyeonggi) based on their own cultural backgrounds about Maeul-Kut and correct, develop, fetch out, and enjoy it . There are several reasons. ① It is distributed alongside the seashore. ② This area also match up with jurisdiction of Jeolla-Usuyeong in Chosun. ③ the formation of Kut-mul (Gimyeonggi) and contents of Kut is very similar to Goon-go. ④ There is interrelaion between Ki and instruments of Pungmul which is on the list about Gungi of Widojin and Gimyeong or Gimyeonggi. ⑤ In the music, the Garak of Gimyeonggi has 'eum-ma-kkang-kkang', the Garak of Goon-go, intro of Insa-kut, Jil-kut, Samchae Jangdan, the principle of Chae-Kut, Chaebeokku, and the small portion of Janggu. ⑥ There is Doje and Jemanjip. And they use an expression, “Jeman moshinda(제만 모신다)”. Through These phenomenons, we prove the similarity between Gimyeonggi and Goon-go. Therefore, there is Gimyeonggi in Jeollado, alongside Udo-kut and Jwado-kut. Hereafter, we need to study more about Gimyeonggi and find another kind of Pungmulk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