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교회사학회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한국교회사학회지」 특집호(55 집)에 고대교회사 연구동향 분석과 미래전망에 대해 나눌 수 있는 기회가주어짐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한다. 본고는 전체 420여 편의 전체 논문 중77편의 고대교회사 논문을 다루었다. 포스트모던적 사조와 신학적 배경으로 크게 4개의 범주(역사관, 주제, 방법론, 저자)로 나누어 논문들의 성향과내용을 분석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는 근대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지배담론이나 거대 담론의 해체를 주장하면서 소위 “아래로부터”의 신학을추구한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소외되고 주목 받지못했던 약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역사 연구의 중심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탈가부장적, 탈유럽적, 탈교리적, 탈교파적, 탈제도적 사고가 주가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사고로 역사 연구에 다양한 방법론이 시도되고 다양한 접근이 이루고 지고 있다. 물론 전통적인 주제들을 다루는 연구도 활발하게 역사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본 학회의 발전과학문적 공헌을 위해 학제간 학회나 연구 등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역사가 신학, 영성, 상담, 윤리, 예배 등과 어우러질 때 교회 현장은 물론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와 함께 소통하고 하나님 나라를 확장할 수 있기 위해 노력해야하기 때문이다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of Korea, 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articles on Early Christianity in our JCHSK since 1979. I examine those 77 articles on the early church through four categories, historical viewpoints, themes, methodologies, and authors. Finally, I suggest a plan for improving future academic and pastoral contributions, both to the church and to society. The new trends of research in church history are “from below.” The perspectives of the alienated or marginalized classes, genders and races has been promoted as the central theme of historical study. Provocative achievements have, of course, also resulted from research done in traditional methods and themes. Along with the postmodernist thoughts, more practical issues for the church such as spirituality, Christian education, worship and liturgy are also linked with historical theories.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academic research in the Church History Society of Korea, I believe it is important that we develop interdisciplinary programs. Incorporating modern perspectives on theology and history into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products for the daily practices of the church will enable all Christians to be more effective communicators of the Gospel for all those we s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