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785년 강원도 안협에서 발생한 이언의 옥사나 1789년 전라도 강진에서 발생한 김은애의 옥사 모두 근거 없는 ‘소문’이 빌미가 되어 벌어진 사건들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들 사건의 빌미가 된 ‘소문’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확산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소문은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소문이 만들어졌지만 아직 사람들에게 확산되지는 않은 잠복기가 그 첫 번째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공간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까운 집단 내에서 소문이 유포되는 확산기이다. 세 번째 단계는 집단 내의 여러 계층으로 확산된 소문이 그 소문을 공유하는 집단 내에 특정한 행동을 촉발시키는 단계이다. 이야기로서의 소문이 물리적인 현실의 차원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소문은 어떤 진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소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이미지가 대상에 덧씌워지기 위해서는 설득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때 가장 유효한 것이 소문을 공유하는 집단에게 익숙한 소재를 시의적절한 현실에 투영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소문의 시의성이다. 소문은 소문 자체에 자기존재의 근거를 확보하는 자기 진술의 담화 구조를 갖는다. 소문은 ‘사람들’이라는 불특정 다수의 존재를 드러내며, 그 ‘사람들’은 “그렇지만 너도 들었잖아!”라고 말하는 순간, 소문의 참여자가 되고 스스로 소문의 존재 근거가 된다. 소문을 듣고 말하는 ‘사람들’이 어느 순간 소문의 주체가 되고 그 자신이 소문의 근거가 됨으로써 소문은 하나의 ‘지식’처럼 여겨지고 확산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운데 소문을 공유하는 ‘사람들’은 집단을 형성한다. 스스로 자기 존재의 근거를 마련하는 소문은 소문의 참여자들을 주체로 내세우면서 허구를 현실로 만들고 소문을 실제로 만든다. 이렇게 퍼진 소문의 진실은 파악하기 어렵게 되고 소문 속에 등장하는 남자 혹은 여자는 ‘사람들’에 의해 낙인찍힌다. 조선사회에서 유교적 윤리 규범, 특히 강상에 관한 좋지 않은 소문에 참여하게 될 때, 소문의 참여자들은 소문 속에서 강상의 윤리를 져버렸다고 이야기되는 대상 인물의 반대편에 서게 된다. 소문은 사회 규범을 강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체제가 자신의 존립을 위해 합리성을 도외시하거나 상실하고 권위에 의존하여 자신의 지배 체제의 정당화를 꾀할 때, 윤리 규범은 더 이상 순수하지 않다. 그것은 체제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에 불과한 것이 될 뿐이다. 구씨나 김은애의 옥사는 체제 유지를 위해 이데올로기화된 윤리가 어떻게 소문을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Lee, Eon's criminal case which occurred at Gangwon-do Anhyeop in 1785 and Kim, Eun-ae's criminal case which occurred at Jeolla-do Gangjin in 1789 are all murder cases happend because of unfounded rumo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spread and influence of the rumor that caused the incidents. The rumor takes three steps. The first stage is a rumor that has said but not yet spread to people. It is a latent period. The second stage is the stage of dissemination within the spatial and socially close group. It is a spread period. The third stage is the rumor spreading to various levels within the group and triggering specific behavior. The rumor that was a story comes to the level of physical reality. Rumors are not based on truth. Thus, rumors begin on the slightest pretense. But, in order to secure persuasiveness, the familiar material is projected into a timely reality. This is the timeliness of rumors. Rumors report on 'People'. When you say, "But, you've heard it!", the participant who hears and talks about rumor becomes the basis for rumor by himself. 'People' who hear and talk about rumors become the subject of rumors at that point. From this time, contents of rumors are thought to be a 'Knowledge' and spread. And among these, 'People' who share the rumor form a group. Participants of the rumor become the subject, make a fiction a real and make the story an actuality. The truth of rumors becomes difficult to grasp, and a man or woman in rumors are branded by 'Poeple'. When 'People' faced with ethically bad rumors in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People' exclude the man or woman in rumors from their own groups. Rumors can be a tool to strengthen social norms. But, when the system attempts to justify domination, the rule of ethics is no longer pure ethics. It is only an ideology for maintaining the system. These criminal case show rumors which is used by ideological ethics to maintain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