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기역에 근무하는 초, 중, 고 교사 41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398명의 자료를 PASW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초, 중, 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향유신념, 정서표현성, 삶의 만족도는 정적 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와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을 근거로 해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가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ㆍ행동적 요인인 정서표현성이 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향유신념 및 정서표현성이 교사 상담에 주는 의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1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inally, 39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and AMOS 18.0 programs. First, the job stress,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life. Secon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the simple effect of job stress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it affected the savoring belief and the emotion expressivenes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mechanism,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 expressiveness,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served as the leading factors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li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relish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