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별에 관한 이중과정모형(DPM)과 의미재구성모형(RMR)을 통해 보편적으로 경험되는 사별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개입에 대한 적용 함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 이론이 개발되기 전의 배경을 살펴보고 두 모형의 구체적인 내용과 개입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DPM과 RMR 개발 이전에 사별이론들은 단계적 방식으로 접근하거나 애착, 외상,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사별경험을 이해하려 시도하였다. DPM과 RMR은 각기 강조하는 바는 다르지만 이전에 제안된 사별이론을 종합하여 사별을 단편적인 경험이 아니라 복잡하고 능동적인 경험으로 보고 결과보다는 과정 그리고 성장을 강조한다. 또한 사별은 개인적이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제안된 이론적 틀 안에서 사별 부적응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bereavement experiences commonly experienced through the Dual Process Model (DPM) and Meaning-Reconstruction Model (RMR) on bereavement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to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 before the two models were developed, and then examined the details and application implications of the two models. As a result, prior to the development of DPM and RMR, bereavement theories attempted to approach in a phasic manner or to understand bereavement experienc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attachment, trauma, and stress. DPM and RMR have different emphasis, but the previously proposed bereavement theory was synthesized to view bereavement as a complex and active experience, not as a fragmentary experience, and emphasized process rather than results and growth. It is also suggested that bereavement is personal and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and can effectively intervene in bereavement adaptation within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