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람들은 과업을 수행하는 이유(추상적 해석)에 대해 고민한 후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고, 과업을 수행하는 방법(구체적 해석)에 대해 고민한 후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다. 이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라는 과업을 수행하게 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았다. 먼저 청소년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독서 선호도를 조사한 후,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의 절반에게는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추상적 해석)에 대해 써보게 하였고, 다른 절반에게는 독서를 하는 방법(구체적 해석)에 대해 써보게 하였다. 그 후, 참여한 학생들에게 6주 간 독서를 하면서 매주 1회(총 6회) 독서활동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 보고서는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요일, 한 주간 독서한 총 시간(분)을 기술하게 되어 있었다.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하는 조건보다 독서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조건에서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사람의 수가 많았다. 2) 독서 선호도가 낮은 집단은 독서하는 방법을 고민할 때가 이유를 고민할 때보다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날 수가 많았지만,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은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할 때 하루 20분 이상 독서한 날 수가 많았다. 3) 독서하는 이유를 고민하는 것은 독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더 오랜 시간 독서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과업 선호도가 낮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시작하고 지속하는 것에는 과업 수행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유익하지만, 과업 선호도가 높거나 과업을 이미 시작한 사람의 경우에는 과업 수행의 이유를 고민하는 것이 과업 성과 극대화에 유익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People achieve great performances by either contemplating the reason they are performing the task (abstract interpretation) or the methods used in performing the task (concrete interpretation). What may 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study explore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based on a reading task conducted among adolescent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ding preferences of a group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of high and low reading preferences. Second, one half of each group was asked to write about why reading is necessary, and the other half, about how to read. Finally,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nd submit a reading report once a week for a period of six weeks (i.e., six times). The reading report included the days of the week when the participants read for at least 20 minutes a day, and the total amount of time they read in a week.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1) More participants read for at least 20 minutes a day from the group who thought about how to read compared with the group asked about why they read. 2) In the group with low reading preferences, those who thought about how to read had more days of reading for at least 20 minutes compared with those who thought about why they read;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reading preferences, those who thought about why they read had more days of reading for at least 20 minutes. 3) Thinking about why they read were motivated to rea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those who have low preferences for a certain task to start and continue the task if they contemplate about the methods of performing the task. For those who have high preferences for a certain task or had already started the task, it is more effective to contemplate about why they are performing the task, to maximize task performance.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extending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