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다혜(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4~6학년 초등학생 1,1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충동적 공격성, 자아존중감, 우울 모두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 분석 결과, 6학년 학생들이 4, 5학년 학생들보다 언어폭력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ross gender and grade. Design/Methodology: For this purpos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ree factors across the group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78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nationwide. Findings/Results: First, through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grade was verified. Second,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ender came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xth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in Impulsive-agg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n fourth and fifth graders.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verbal violenc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validates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testing for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