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 C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4학년 24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4일 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지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를 완화 및 조절하고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이들의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지도교수를 비롯한 대학 내 안전한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해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and job-seeking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among students at a university. For the study, 246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C in Gwangju,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ook survey from December 30, 2019 until January 3, 2020.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based 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study and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college, as perceived by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and study and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predict th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and job-seeking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mediate and control study and job-seeking stress of students at provincial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ill need to introduc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and establish a safe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professors and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