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근거이론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우리 교육행정학계에서 근거이론을 보다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을 찾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거이론의 발전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행정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활용 실태를 해당 논문 7편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1) 개념을 지나치게 많이 생성하는 경향 - ‘개념 생성 워크시트’의 적극적 활용, (2) 대부분 미시적이고 속성적인 주제에 치중하는 문제 - ‘분석 초점자’ 시점의 도입, (3) ‘코딩 패러다임’의 지나친 남용 - 모든 범주를 채우기보다는 가능한 범위에서의 개념적 이론화, 관계적 이론화를 시도, (4) 2차 코딩 단계에서 연구가 종료되는 제한된 이론화 과정 - 3차 코딩(이론적 코딩) 과정을 통한 기존 이론과의 연계 혹은 확장·발전 시도, (5) 간호학 분야에서 제시된 기존 교과서의 근거이론 구조 적용의 한계 - 기존 교과서의 맥락, 인과적 조건에 대한 교육행정학 분야 차원에서의 재해석, (6) 연구자의 주관과 준거 틀에 대한 통제의 한계 - 연구자의 정체성 및 이론적 민감성과 관련된 정보를 명확히 기술 등을 시사점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grounded theory in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find out the area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use the grounded theory more appropriately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ontents of grounded theory were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analyzed in depth in 7 grounded theory research artic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endency to generate too many concepts - the active use of the 'concept generation worksheet', (2) the focus on most micro and attribute themes - the introduction of the 'analytical focalizer' viewpoint, (3) excessive abuse of the 'coding paradigm' - researchers attempt conceptual theorization and relational theorization to the extent possible, rather than fill all categories, (4) Limited theorizing process where research is completed in the second coding process - Attempt to link or expand/develop with existing theories through the 3rd coding (theoretical coding) process, (5)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structure of existing textbooks presented in the field of nursing - reinterpretation at the leve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contextual & causal conditions of existing textbooks, and (6) limitations of the control of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and reference framework - clear description abo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er's identity and theoretical 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