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832년 5월부터 광둥에서 발간되기 시작한 『차이니즈 레포지터리The Chinese Repository』의 주요 필진은 선교사 혹은 외교관, 무업 관계 종사자들이 주류였다. 본 논문은 바로 『차이니즈 레포지터리』가 처음 발간되었던 시기인 1830년대 초반 선교사들의 글을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새로운 지식 생산자로서 갖게 된 위상과 함께 그들의 내면에 감춰진 균열과 자기 정립 과정을 읽어 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차이니즈 레포지터리』의 텍스트에서 이들이 읽고 있는 중국의 ‘경전’, 중국의 ‘학문 체제’에 대한 내용을 분석, 이들이 파악하고 있던 당시 중국 문명에 대한 인식을 살폈고, 전근대 중국의 문명적 혹은 이데올로기적 제도들이 갖는 특징 속에서 근대에 대한 이들 필진들의 시선을 거꾸로 재구성해 보았다. 본 논문은 이 지점이 바로 우리가 신교 선교사들을 평가할 때, 제국주의의 전구(前驅)로 보든 아니면 기독교적 양심의 실천가로 보든, 이전의 1800년대 초반과는 달라진 서양인의 모습이며, 이들의 서사는 근대성의 우월감과 자신감을 상대방에게 처음으로 과시하는 체제를 갖추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한편으로 유럽에서 자신들이 생산한 지식이 유통되고 확산되어 그들의 선교 사업이 후원을 받고 궁극적으로 지적 권위와 위상을 획득할 수 있기를 원했다. 이들의 중국 혹은 아시아에 대한 지적 권위는 지역의 현장성을 강조함으로써 확립되었다. 그리고 반면 근대의 과학·윤리·가치관을 동아시아로 가져와 변화의 동인으로 만들고자 하는, 즉 ‘동아시아에서의 계몽의 완성’이라는 목표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 스스로가 존재하고 또 근거하고 있는 현장으로서의 중국과 아시아를 단순히 대상화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대한 지식을 재확립하면서 산발적 지식에서 지식 체계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Missionary, diplomats and trade-related people constituted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Chinese Repository』,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May 1832 in Guangdong.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missionary’s new roles as the knowledge producers about the region and discuss the internal conflicts and self identity formation they went through in the early 1830s. This paper analyzed these individuals’ perspectives regarding Chinese civilization reflected in their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academic system. This research shows that whether we see protestant missionary as precursors of imperialism or doer of Christian conscience, these Westerners demonstrated differences from the early 1800s in that their narratives began to demonstrate their modernity’s supremacy and confidence. On the one hand, they aimed to obtain intellectual authority and status as the knowledge they produced were consumed and disseminated in Europe and as their missionary work were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se individuals also aimed to accomplish the mission of enlightening East Asia by transferring science·ethics·values of modern times to East Asia, provoking the region’s transformation. They not just turned China and Asia into objects as regions they lived in but also constructed a knowledge system based on the sporadic knowledge they reestablished about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