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휴산업시설이었던 영주148아트스퀘어에 대한 문화공간의 변화 양상에 따라 지역민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앙리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과 유휴산업시설의 정의 및 재생가치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 틀로 활용하여 이용 주체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된 재현적 공간에 대한 주체들의 인식들은 공간 및 프로그램에 반영되어 다시 공간적 실천의 대상이 되며, 추후 공간의 재현을 위한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공간 층위의 순환과정 속에서 이곳은 지역민들의 커뮤니티 참여 및 관계를 바탕으로 지역민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유휴공간에 대한 장소성 및 지역민의 애착을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지속 가능한 문화공간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민들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프로그램의 기획을 제시하지 못한점과 객관화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실증적이며 구체적인 연구는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local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ultural space of Yeongju 148 Art Square, which was an idle industrial facility.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users using Henri Lefebvre’s theoretical concepts of the definition and regeneration value of social space and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an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perceptions of the researched reproducible space are reflected in the space and the program, and become the object of spatial practice again, and later became the basis for the reproducing of the space. In this process of circulation at the spatial level, this place serves as a cultural space that grows with local people based o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This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and the local people's attachment to the idle space. However, it is a limitation of research that it fails to present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and program planning with local people for the revitalization of sustainable cultural space, and fails to present objective results. Therefore, empirical and specific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s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