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과정적 다면피드백의 기능과 효과를 수강생대상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가장 유익했던 피드백은 교수자의 대면상담> 피어튜터링> 동료 논평> 조교 지면첨삭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지면첨삭보다는 상호소통적 피드백의 유효성을 말해준다. 교수자의 대면상담 피드백은 주로 ‘문제의식 및 창의적인 논지 찾기’에 가장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 부분은 교수자가 학문공동체의 전문가로서 대면 상담을통해 학생들의 의도를 이해하고 학술적으로 유의미한 문제의식과 핵심 아이디어를 끌어내는 데에 강조점을 두는 피드백을 했기 때문이다. 피어튜터링은 ‘연구과정’(자료수집, 분석 방법, 문헌검토 과정, 인터뷰나 설문과정 등)과 ‘주제선정’과정에서의 도움을 주었다. 동료피드백과 조교 피드백은 지면첨삭으로 주로 ‘학술문장쓰기’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 과정적 다면피드백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글쓰기 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의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강 전보다 수강후에 글쓰기 능력이 더 향상했다고 인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정적 다면피드백의 적극적인 활용과 교수의 대면상담의 역할과 중요성을 보여준다. 교수자의 대면상담을 통해 대학의 학문공동체의 관습과 담화 코드 등을 습득하면서 논문쓰기의 유익함과 글쓰기에 대한 보다 나은 자신감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생이 일대일로 토론하고 소통할 수 있는 형태의 혁신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 and impact of procedural multifaceted feedback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a survey of students, face-to-face consultations generated the most useful feedback, followed by peer tutoring, peer feedback, and written feedback from a teaching assistant. This indicates that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a more effective way of providing feedback than paper corrections. Face-to-face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was most helpful for ‘finding original problems and issues.’ This is because face-to-face consultations enabled the instructor, as an academic expert, to understand students’ intentions and to provide tailored feedback that addressed academically significant problems and issues. Peer tutoring was helpful for the ‘research process’ (data collection, analysis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process, interview, or survey process) and ‘topic selection.’ Peer feedback and written feedback from a teaching assistant were most helpful for ‘writing academic sentenc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cedural multifaceted feedback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writing ability. Most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writing ability had improved after taking the class. This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consultations with instructors and the active utilization of multifaceted feedback. Through face-to-face consultations, university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in writing and their sense of the usefulness of writing research papers and acquiring the discourse-related norms of the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n innovative class model, in which the instructor has individualized consultations involving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