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wealth)를 소득과 자산으로 구분하고, 가산 가능한 멱함수 꼴의 2-요인 효용함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De Meza and Webb (2001)과 다른 관점에서 소득과 자산에 대한 위험회피성향을 각각 정의하고, 순선택과 위험회피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첫째, 자산에 대한 위험회피성향과 자산민감도에 이질성이 존재하는 경우, 자산에 대해 덜 위험회피적이면서 민감한 타입은 예방적 노력에 투자하고 더 많은 보험을 구매한다. 이에 반해, 자산에 대해 더 위험회피적이면서 민감하지 않은 타입은 예방적 노력에 투자하지 않고 보험도 더 적게 구매한다. 이 외에도 풀링균형 또는 부분풀링균형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소득에 대한 위험회피성향과 소득민감도에 이질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방적 노력을 기울일 유인에 대한 타입별 차이가 없다. 예방적 노력을 기울일 유인의 정도에 따라 소득에 대해 덜 위험회피적이면서 민감한 타입은 예방적 노력에 투자하고 보험을 더 적게 구매하는데 반해, 소득에 대해 더 위험회피적이면서 민감하지 않은 타입은 예방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보험을 더 많이 구매하는 역선택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예방적 노력을 기울일 유인이 충분히 작다면 단일 요율 균형이 일어날 수도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모델이 포착하지 못하는 효용함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선택이 일어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decomposes wealth into income and asset, and utilizes an additive power utility function over two good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f De Meza and Webb (2001), we define risk aversion with respect to income and asset, respectivel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antageous selection and risk aversion. Firstly, assuming the heterogeneity in risk aversion with respect to asset and asset-sensitivity, we show that less risk-averse with respect to asset and asset-sensitive type invests in self-protection and demands more insurance, whereas more risk-averse with respect to asset and not asset-sensitive type does not expend effort and demands less insurance. We also find that pooling equilibrium or partial pooling equilibrium can exist. Secondly, if insureds differ in their risk aversion with respect to income and income-sensitiv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ypes in terms of the incentive to expend eff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entive for self-protection, less risk averse with respect to income and income-sensitive type invests in self-protection and purchases less insurance, whereas more risk averse with respect to income and not income-sensitive type does not expend effort and chooses larger insurance coverage under adverse selection. If the incentive to expend effort is sufficiently small, market may settle on separating equilibrium with single premium rate. The results of this paper imply that the present model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utility which cannot be captured by the standard model, and suggests a new mechanism of advantageous s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