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재가노인복지협회에서 수행한 지역사회 기반 노인우울 및 자살예방사업 빅.마.마 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연구설계를 사용하여 SPS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234명)과 통제집단(275명)모두에서 우울과 자살사고, 사회적 자본,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가 나타났고, 스트레스 감소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첫째, 노인정신건강과 관련한 서비스의 확대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 요구, 둘째,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센터 실무자들이 대상자들에 대해 심리․정서적 지원업무를 수행하는 주체로의 가능성 확인, 셋째, 민간 주도의 노인 우울․자살예방사업의 시스템 구축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g.Ma.Ma", a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of Busan Association in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use the experimental control group and pre - post - test research design, analyzed using SPSS 24.0. The results of analysis, depression, suicide ideation,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ere difference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both of experimental group(234) and control group(275), and showed that this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ress reduct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e effect of this program, finding suggest to expand the elderly mental health services and to develop continuous and long-term interventions and program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gave new possibilities that home support service center practitioners to be perform va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asks to elderly. Finally, it i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system of private-led elderly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