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설은 영상매체에는 없는 스토리 전달자인 ‘서술자’라는 막강한 무기를 바탕으로 영화와 차별화를 꾀했고, 이는 소설을 비롯한 서사교육의 핵심 내용이 되었다. 이 연구는 서술자와 초점화 주체의 서사교육적 의미를 검토하고, 소설 원작 영화의 초점화 양상을 분석해 서술자 중심의 소설교육의 한계를 제시했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다. 서술자는 매체의 속성에 따라 서사물에 부재하기도 하지만, 초점화는 모든 서사물에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초점화는 소설 중심의 서사교육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지닌 동시에 주변부에 머물던 다양한 매체 서사를 서사교육의 장으로 이끄는 매력도 함께 지닌다. 이를 반영하듯 현행 교육과정은 ‘보는 이’를 제시하여 초점화 활동을 통한 작품 해석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과서의 활동은 초점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설 원작의 영화는 다양한 초점화 주체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도록 하며, 가정적 상황에서 초점화 활동의 수행이 작품 해석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이 연구는 초점화 주체의 작동 양상에 따라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으로 나누어 소설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The novel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film based on the powerful weapon of the narrative, the narrative, a storyteller who does not exist in the video media, and has presented this as a core content of narrativ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narrative education of focalization theory and considers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rrator-centered fiction education through the focalization strategy of film based on novels. Descriptors may be absent in narrativ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edium, but focalization appears in all narratives. In this sense, focalization has the potential to go beyond novel-oriented narrative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attracts various media narratives that stayed in the periphery. In this regard, the current curriculum suggests that the viewer be interpreted through the focalization activity. However, textbook activities do not properly reflect focalization. The film based on the novel confirms the existence value of various focalizors, and proves that it is effective to set up a domestic situation and focus on it. This study suggested a novel reading method by dividing it into basic activities and deepe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focaliz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