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급변하는 도시적 삶에서 변화하는 인간의 삶의 형태는 현대화의 과정을 통해 도시 표면에 새겨져 왔다.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요구들은 특정한 유형의 공간과 구조를 만들도록 도시를 밀어붙이는 것이다. 독일의 수도 베를린은 최근에 이와 같은 도시 공간의 변형과 ‘변화하는’ 인간 삶의 유기적 관계를 가장 드라마틱하게 보여주고 있다. 20세기 말 통일 이후 베를린은 역사적 전환과 더불어 도시 구조 및 공간적 전환에 놓여 있었다. 특히 장벽이 서 있었던 베를린의 도심 구역은 장벽이 무너지면서 빈 터를 드러내었고 도심 구조의 분절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도심 구역은 한 도시의 물리적 상징적 의미를 보여주는 만큼 도심 재건 프로젝트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시 한번 통일을 이룬 독일의 수도로서 도시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베를린의 도심 형성의 역사만 보더라도 역사성의 복원이라는 문제는 그렇게 간단치가 않았다. 베를린의 20세기 역사만 보더라도 두 번의 전쟁과 나치 독일, 그리고 패전에 따른 분단과 두 개의 독일 시기 등 매우 단절적인 역사로 점철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말 분단과 더불어 황폐화되었던 베를린의 도심의 재생 작업에 있어 ‘역사적인 도심’의 복원을 위해 도입된 개념인 ‘비판적 재구성’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그 공간적 재현 과정에서 나타난 역사성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건된 베를린의 역사적 도심 공간이 추동하는 기억과 망각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한다.


Nach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unterlag Berlin auf einem historischen Übergang und einer räumlichen Transformation. Vor allem Berlins Zentrum, die Mitte, früher Friedrichstadt, wo die Berliner Mauer stand, offenbarte eine Leere, die eigentlich den Bruch der städtischen Struktur zwischen Ost und West manifestierte, und die historischen Orte wie Brandenburger Tor, Pariser Platz usw. wurde verwüstet. Diese Orte schienen sofortige Erneuerung zu verlangen In diesem Projekt des Zentrumsumbaus, das von der Berliner 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entwickelt wurde, spielt das Konzept der ‘kritischen Rekontruktion’ eine gravierende Rolle: Es zielt darauf ab, ein vereinheitlichtes Stadtbild durch die Wiederherstellung der urbanen Struktur in der ehemaligen Friedrichstadt, Berlins historischem Zentrum am Ende des 19. Jahrhunderts, vor allem durch die Blockrandbebauung wieder herzustellen. In diesem Aufsatz untersuche ich die Angemessenheit des Konzeptes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und erläutere kritisch die Grenzen der Erinnerung in seiner Realisation. Dadurch wird der Mechanismus der Erinnerung und der Amnesie des rekonstruierten historischen Stadtzentrums von Berlin offenb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