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인의 죽음과 죽음 의례로써의 매장행위는 인간 존재에 대한 경외와 배려 외에도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관습과 전통과 법규와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 놓여있다. 본 논문에서 다룬 히브리 성서의 본문과 그리스 비극에서 개인의 죽음은 공통적으로 정치적 상황과 국가의 실정법과 관련되어 있다. 히브리 성서에서 어머니의 애도 행위는 아들의 죽음 이후 방치되는 시신에 대해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요구하는 윤리적 행위로서 국가의 실정법에 저항하는 몸짓으로 이해할 수 있다. 리스바가 죽은 아들과 친족들의 시신을 앞에 두고 행한 의식은 단지 죽음을 슬퍼하는 애도의식일 뿐만 아니라 적절한 장례의식을 통해 땅에 매장되기를 요구하는 죽음의례로서 최고 국가 권력자 다윗으로 대표되는 국가법, 실정법에 저항하는 적극적 정치 행위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은 인간 존재의 존엄 회복을 위한 자연법적 요구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 비극 안티고네에서도 폴리네이케스의 매장을 금지하는 크레온의 실정법에 맞서 죽은 자를 매장하고 자신도 죽음을 맞이하는 안티고네의 행위는 단지 국가보다 가정을 우선하며 공동체의 보편적 원칙보다 사적 관계에 근거한 구체적 감정에 의한 슬픔과 상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죽음에 대해 공동체가 행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묻고 요구하며 직접 행하는 독립적이고 저항적인 정치 행위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자연법은 실정법을 비판적으로 새롭게 점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현존하는 국가 권력의 명령이 곧 절대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이고 정치적, 사회적 공동체의 근본 질서가 어떤 자의적 지배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점에서 자연법은 바로 ‘정치적 정의’를 의미하며 그 정의의 기초는 바로 인간의 존엄이다. 다시 말하면 자연법은 도덕적, 윤리적 차원에서 실정법의 한계를 보여주어 실정법을 비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 공동체 구성원의 의식 속에 보편적으로 관철되어서 실정법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기능까지 수행한다. 위의 두 본문, 즉 히브리 성서의 역사서에 나타난 사울의 아들들의 죽음을 다룬 본문과 그리스 비극 안티고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인간의 시신을 매장하는 것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정당한 도리’로서 ‘보편타당한 것이고 불변적이고 항상적’인 자연법의 요구로 해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국가권력에 의해 죽은 자 혹은 국가에 대한 반역자로 죽은 자에 대한 매장을 금지한 것이 국가 권력에 의한 실정법의 요구라고 한다면 시신이 동물에 의해 먹히지 않고 적절한 장례절차에 따라 무덤에 장사되는 매장 행위는 인간 존엄에 기초하여 그 실정법에 대해 비판하면서 쇄신을 요구하고 결국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것은 자연법의 실천적 기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Personal death and funerals/burying are closely associated not only to awe and care for human beings, but also to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and laws. The death of an individual in the text of the Hebrew Bible and in a Greek tragedy, which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re in common related to the politic situation and the actual laws of the state. A mother's mourning in the text of Hebrew Bible can be understood as an ethical act that demands human dignity for the body of her son, who is left unattended after his death, and as a gesture defying the country's laws of practice. The ritual of Rizpa in front of the bodies of her dead son and relatives was understood to be not only a mourning rite of death, but an active political act to bury in the ground through a proper funeral ceremony, which was a natural demand for the restoration of the dignity of human being and to oppose the law, which is represented by the supreme power, David. In the Greek tragedy Antigone, Antigone buried the dead against Creon's law, which prohibited the burial of Polyneices, and she was herself died. Her actions should be understood to be an independent and rebellious political act that requires the community's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for the death of human beings. It was not just based on the sadness and loss of emotions based on private relationships, but on the universal principles. Natural law is responsible for critically reviewing the actual law. That is, the order of state cannot be absolute law, and the fundamental order of political and social communities cannot be arbitrary. In this sense, natural law means political justice, and the basis of justice is human dignity. In other words, natural law functions to criticize the actual law by showing the limits of the actual law on both moral and ethical levels, and furthermore, it functions to change the actual law in the community. The above two texts show that the burial of human bodies is a legitimate duty in harmony with nature and can be interpreted as a demand for universal natural laws. If it is a request of the national law to prohibit the funeral of a person who died by a national power or of a traitor to the state, the burial activity to bury of a dead person in the grave according to proper funeral procedures is based on human dignity. The natural law criticizes and changes the national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