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상호문화역량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으며, 그 중 유효한 192부의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은 주관적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상호문화역량은 주관적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경험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상호문화역량이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이 조절효과는 상호문화역량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면 첫째, 다문화 차별 금지를 위한 사회적 노력을 전면적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은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소년들의 상호문화역량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을 줄이고 상호문화역량의 강화를 통해 행복을 증진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subjective happiness of the multicultural youth and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220 youth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192 answerers' vali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scrimination experiences has negative effects on subjective happines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has positive effects on it. Also,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multicultural youth disturb subjective happiness, and these effects were moderated by intercultural competence, indicating that greater intercultural competence may buffe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The moderating effects are prominent with mor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ur findings have several suggestions. First, to eradicate discrimination, social efforts such as an expans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dults and teenagers are required. Second, based on interculturalism, the paradigm of multicultural youth policies need to divert to bolstering strengths of the multicultural youth. Thir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ogram on inter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provides the groundwork for further exploration on how to reduce the multicultural youths'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to support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strengthening intercultural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