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학은 통상 性理 분석을 중시하지 않고 돈오를 直覺하기를 좋아한다고 여겨지며, 심지어는 ‘신비주의’로 흐르기도 한다. 하지만 유학은 실로 이성주의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知言’은 곧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유학의 이성주의를 전형적으로 체현한 것이다. 공자의 知言은 知人을 지향하고 修身治國을 목적으로 하여, 지언의 세 층차의 의의, 즉 知言의 이성, 실천, 경계의 의의를 체현하였다. 맹자의 知言은 심신을 수양하는 독보의 경지이며, 또 “正人心, 息邪說, 放淫辭[人心을 바르게 하여 邪說을 종식키기고 淫辭를 추방한다]”의 비판 무기로 사용하였다. 송명 이학은 본체, 공부 그리고 효험에 입각하여 다층차로 ‘知言’觀을 풍부하게 하였다. 二程은 知言을 ‘知道’로 보았고 胡宏은 知言을 格物로 보았으며, 朱子는 선배들의 설을 종합하여 知言을 知道로 보고 또한 格物로도 보아, 養氣와의 비교 중 知言 공부의 우선지위를 부각시켰으며, 지언 공부가 결핍되었다는 것을 이유로 象山을 告子로 간주하였다. 象山은 주자가 告子의 義外의 학문을 한다고 반박하고, 知言은 맹자의 정신을 대표하기에 족하다고 하였다. 王船山 역시 知言과 養氣의 비교시야 중, 효험의 각도에서 知言은 ‘오직 공자만이 할 수 있다[惟孔子能之]’ 라는 극도의 평가를 주었다. 黃宗羲는 “지언과 양기는 하나[知言養氣爲一]”이되 養氣를 우선으로 하는 견해를 제출하여, 心學의 기본 공통 인식을 대표하였다. 知言과 養氣는 儒學의 내외 양면을 나누어 가리키며, 유학계통 중에서 동등한 위치를 차지한다. 知言은 儒學의 이론구조를 선명하게 체현하고 아울러 시종 儒學의 생활실천 중에 뿌리를 내렸다. 이론언설을 중시하는 당대 사상어의 境界에서 마땅히 전통유학의 知言 성취를 노력하여 흡수하고, 신시대 유학의 知言 계통을 구축하여 그 주춧돌을 다져야 할 것이다.


Confucianism is usually regarded as a thinking system which pays more attention on intuitive insight rather than rational analysis, so it even being regarded as "mysticism". However, Confucianism actually has its rational aspect—— "knowing words" typically embodies its rational spirit centered on practice. Confucius' ideas of knowing words points to understanding people ,cultivating oneself ,governing the country, which reflect its three dimensions of rationality, practice and state. Mencius'"knowing words" is not only his unique state of cultivating his body and mind, but also a critical weapon for "rectifying human mind, extinguishing heresy and wiping out inappropriate words". Neo-Confucianism in Song and Ming Dynasty enriched the concept of "knowing words" from the aspects of ontology, effort and effect. Cheng hao&Cheng yi take “knowing words” as "knowing the Dao". Hu Hong regards it as investigating things, Zhu Zi adopts both their ideas, and highlighting the priority of knowing words in comparison with cultivating Qi, Judging Lu Xiangshan as Gaozi according to his lack of knowing words effort. Xiangshan advocates that knowing words fully represent s Mencius' spirit, and refutes Zhu Zi's Learning as Gao zi’s outside justice learning. Wang Chuanshan highly apprised "Confucius " as the only person could achieving knowing words also from the comparison of knowing words and cultivating Qi. Huang Zongxi put forward the idea that knowing words and cultivating Qi " being one and putting cultivating Qi on the priority, which represents the basic consensus of the school of mind. Knowing words and cultivating Qi refer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Confucianism. Knowing speech clearly reflects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of Confucianism which always roots in the life practice . In the contemporary ideological context giving attention to theoretical speech, we should try to absorb the achievements of traditional Confucianism's knowing words, so as to construct a new system of Confucianism's knowing words.


儒学通常被认为不重理性分析而好直觉顿悟,甚或流于“神秘主义。”然儒学实有其颇重理性的一面,“知言”即典型体现了儒学以实践为中心的理性精神。孔子知言以知人为指向,以修身和治国为目的,体现了知言的理性、实践、境界三个层面意义。孟子知言既是其修养身心的独到之境,又是用以“正人心,息邪说,放淫辞”的批判武器。宋明理学从本体、工夫和效验多层次丰富了“知言”观。二程视知言为“知道”,胡宏视知言为格物,朱子综合前辈之说,既将知言视为知道,亦视为格物,在与养气的比较中突出知言的工夫优先地位,并以缺乏知言工夫为据,判象山为告子。象山主张知言足以代表孟子之精神,反驳朱子之学实乃告子义外之学。王船山亦在知言与养气的比较视野中,特别从效验的角度给予知言“惟孔子能之”的极高评价。黄宗羲则提出“知言养气为一”而视养气为优先,代表了心学之基本共识。知言与养气分指儒学之内外两面,知言鲜明体现了儒学的理论建构,并始终扎根于儒学的生活实践中,在注重理论言说的当代思想语境中,应努力吸收传统儒学的知言成就,从而构建出儒学的新知言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