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어 보조사 ‘만, 밖에, 뿐’과 중국어 부사 ‘只, 光, 仅’에 대한 연구를 방탕으로, 사용 양상 연구의 방법론을 참고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언어 자료로 구축된 말뭉치를 이용하여 보조사 ‘만, 밖에, 뿐’과 부사 ‘只, 光, 仅’의 사용 양상을 각각 살폈다. 같은 한정 기능을 지닌 보조사 ‘만, 밖에, 뿐’과 부사 ‘只, 光, 仅’의 사전 의미, 사용 빈도, 분포, 연어 관계 등 양상을 밝혀, ‘만, 밖에, 뿐’과 ‘只, 光, 仅’ 각각 내부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이들 간에 차이를 찾아내고 양 언어 간에 차이도 비교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refers to the methodology of study of usage patterns by dissolving the study of Korean auxiliary particle '만, 밖에, 뿐' and Chinese range adverb '只, 光, 僅', and uses the actual language data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native speakers Using the constructed corpus, we looked at the usage patterns of auxiliary particles '만, 밖에, 뿐' and range adverb '只, 光, 僅' respectively. In the Korean and Chinese corpora, the Korean auxiliary particle '만, 밖에, 뿐' and Chinese range adverb '只, 光, 僅' are each 300 sentences, and a total of 1800 are used as analytical corpu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amples,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such as the appearance ratio of Korean and Chinese, appearance environment are revealed. the analysis results of Korean and Chinese are compared to fin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本文以韩国语补助词‘만, 밖에, 뿐’和汉语副词‘只, 光, 僅’的研究成果为依据,参考语言使用情况研究的方法论, 利用由韩国语母语者和汉语母语者的实际语料构建的语料库,分别分析了补助词‘만, 밖에, 뿐’和汉语副词‘只, 光, 僅’的使用情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