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광지는 청대 역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정약용을 비롯하여 이광지 역학에 대한 비판은 정주 리학을 왜곡했다는 것과 주희의 괘변도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역학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광지 역학을 청대 학술의 배경과 강희제와의 정치적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이런 사회 정치적 맥락 속에서 두 가지 비판이 가진 의미가 무엇이고 왜 그러할 수밖에 없었는가를 논의한 뒤에 이광지 역학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주역절중』은 강희제의 정치적 의도와 맥락 속에서 편집되었기 때문에 세밀한 독해가 요구된다. 이광지는 주희가 상(象)과 점(占)으로 구분하여 『주역』이 점서로 평가한 점에 찬동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주석의 내용에서 보면 주희와 정이천의 의리(義理)를 모두 따르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어떤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해석이 『주역』 해석으로서 전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폄하할 수도 없다. 이광지는 나름대로 전체 주역의 의미를 일관된 논리로 해석하고 편집하려고 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해석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주역절중』보다는 『주역통론』에 잘 드러내고 있다.


Lee Kwang-ji(李光地) is a representative figure in Qing Dynasty. One of the main criticisms of Lee Kwang-ji, including Jeong Yak-yong, is that he is not aware of the yixue(易學) because he has distorted the philosophy of ChungJulixue(程朱理學) and he has not selected Zhu-xi's Guabian(卦變).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Lee Kwang-ji's yixue(易學) in the background of Qing Dynasty's academic work and in the political relationship with Kang Hee-je(康熙帝). After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two criticisms and why they had to do so in this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Lee Kwang-ji's yixue(易學). A detailed reading is required because Jooyeokjeoljoong(周易折中)was edited in the context of Kang Hee-je's political intentions. Lee Gwang-ji agrees with Zhu-xi's assessment of the main characters by dividing them into 象 and 占. However, in terms of the actual contents of the commentary, he does not follow the commentary. This involved some political agenda. However, that is why such an interpretation cannot be denigrated as entirely wrong. It is acceptable that Lee Gwang-ji tried to interpret and edit the meaning of the entire leading role in a consistent way. And he had his own way of interpreting. This is more apparent in the Jooyeoktonglon(周易通論) than in the Jooyeokjeoljoong(周易折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