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19세기의 유학자인 寒州 李震相과 一夫 金恒의 학문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주가 성리학적 학문체계를 바탕으로 주체성을 강화하려는 것과 달리 일부는 儒佛道로 구분되기 이전의 道 자체의 관점에서 倒逆의 생성을 통하여 세상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한주는 성리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竪看과 倒看 그리고 橫看의 三看의 학문방향과 順推와 逆推의 학문방법을 통하여 天地人 三才의 근원인 太極, 理와의 合一을 추구한다. 그는 삼간과 양추의 학문방법을 통하여 태극을 중심으로 정통과 이단을 구분하고, 자신의 주장과 다른 사람의 주장, 성리학과 다른 학문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차별성을 부각시켰다. 일부는 시간성의 倒逆生成과 그것을 대상화한 공간의 順逆合一을 제시하고, 震巽으로 표상되는 인간을 통하여 천지인의 삼재가 成道하여 合德됨을 밝히고 있다. 그는 후천의 性理 가 선천의 抑陰尊陽의 心法으로 드러나는 한국사상적 道學을 제시하여 삶의 모든 순간이 盤古, 化翁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믿고 맡기는 修道와 그 자리에서 드러나는 생성을 지켜보는 濟度가 하나가 된 것이 일상의 삶임을 밝히고 있다. 순과 역을 구분하여 역방향에서 理, 太極과의 合一을 추구하는 성리학적 학문방향과 방법은 순방향에서 이루어지는 실천의 측면을 드러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西學과의 합일이 어렵다. 韓國 易學的 道學은 도역의 생성을 통하여 儒學과 道佛, 더 나아가서 西學이 모두 道 자체의 자기 전개임을 나타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ademic methodology of Hanju Yi Jinsang and Ilbu Kimhang in the nineteenth century. Unlike Hanju, who wished to strengthen independence based on Neo-Confucianist academic systems, Ilbu aimed to renew the world through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Doyeoksaengsung倒逆生成) from the perspective of Tao(道) before it was separated into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Yoobuldo儒佛道). Hanju pursued unity with Tae Geuk(太極), RI(理), which are the source of the three functions(Sam-jae 三才) of heaven, earth, and man (Cheonjiin天地人) through the academic direction of the three viewpoints(Sam-kan三看): the horizontal (Su-kan竪看), vertical (Do-kan倒看), and cross viewpoints (Hoeng-kan橫看) based on the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and the academic methodology of Sun-chu(順推) and Yeok-chu(逆推). He differentiated between the orthodox and heretical, focusing on yin-yang using the academic methodologies of Sam-kan(三看) and the two chus(兩推), and he emphasized this distinction by strictly differentiating between his argument and the arguments of others, and between Neo-Confucianism and other disciplines. Ilbu(一夫) proposed the Doyeoksaengsung of time and the unity of Sun-yeok in the space that objectifies the Doyeoksangsung and explains that the Samjae of Cheonjiin is achieved and reached through humans represented as the true descendants. He presented Taohak(道學), where the principles of human nature of the descendants are revealed through the methods of suppressing yin while respecting yang(Eokeumjonyang抑陰尊陽) from the ancestors, and revealed that the everyday life is when Sudo(修道), which believes and places its faith that every moment in life is created through teachers(Bango盤古) and parents (Hwaong化翁), and the system that views creation become one. Differentiating between sun(順) and yeok(逆), the Neo-Confucianist academic direction and methodology that pursue unity with Tae Geuk(太極), RI(理), in the reverse direction cannot reveal the aspect of practice which occur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be integrated with Western academics. Through Doyeoksaeungsung, Taohak shows that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even Western learning are all self-unfolding of Tao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