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examining the languages and the methods of division to clarify a sophist by Plato, suggests that a possible clarification of the perfect sophist in a positive sense can be inferred from the divisions, and that such sophist would be necessary for Plato’s project of practicality of philosophy. In clarifying a sophist Plato presents various forms of the sophist in the Sophist. In the final division of the sophist, Plato divides apparition-making and likeness-making in image-making (Soph. 235b-236c); apparition-making with knowledge and that with a belief (but without knowledge) in imitating (267a-e); again, believing to know (sincere) and pretending to know while believing not to know (insincere) in imitating with a belief (266e-268a); finally, words-giving publicly and words-giving privately in pretending to know while imitating with a belief (268a-c). When one who, as an imitator, practices ‘words-giving privately’ is suggested as the sophist, Plato concludes that ‘it seems likely to be true if the real sophist is said to be one who, being insincere, performs the imitative kind of the contrary-word-making on the basis of a belief, of the apparition-making in image-making to produce a marvelous part in words concerning human matters’ (268c-d). Since the methods of division to clarify the sophist runs in a non-exclusive way, however, it does not seem impossible for the sophist to be one with knowledge. Imitating by words-giving privately with knowledge thus can be inferred to lie under likeness-making. Here, one who knows, if making likeness in words from imitating what one knows, is considered the perfect sophist who produces images to form a correct belief in the soul, without violating the clarifications of the sophist. Such perfect sophist is not only working positively but also necessary in practicality of philosophy to establish the common good in a community, as the sophist surely aids people to equip their souls with the knowledge-like beliefs or the beliefs that bear the correct proportions same as knowledge, when they are by the nature of soul incapable of reaching and acquiring knowledge.


이 논문은 소피스트를 규정하려는 플라톤의 분할 방법을 검토하여 (전통적으로 이해되어온 바와 같은 부정적 의미에서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에서 긍정적 역할을 책임지는 완벽한 소피스트가 추론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소피스트에 대한 플라톤의 적대적 표현들은 다양한 대화편에서, 특히 초기와 중기의 대화편들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플라톤은 『소피스트』편에서 분할 방법을 통하여 소피스트를 보다 체계적으로 규정하고자 재차 시도한다. 소피스트를 규정하면서 플라톤은 다양한 소피스트의 모습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최종 규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플라톤은 다음과 같은 분할을 진행한다. 우선 모상(eidōlon)을 제작하는 모상제작술(eidōlopoiikē)을 각각 닮은꼴(영상: eikon)을 제작하는 닮은꼴(영상)제작술(eikastikē)과 환영(환상: phantasma)을 제작하는 환영(환상)제작술(phantastikē)로 나눈 후(235b-236c), 환영제작술을 앎과 함께한 경우와 앎 없이 믿음과 함께 한 경우로 다시 나누고(267a-e), 이어서 앎 없이 믿음과 함께 하는 환영제작술을 앎이 없음에도 안다고 믿으며 환영을 제작하는 순진한 경우와 앎이 없음을 알아차리되 아는 양 행세하며 환영을 제작하는 시치미 떼는 경우로 나눈다(266e-268a). 마지막으로 플라톤은 후자의 경우를 공공의 장소에서 긴 연설로 이루는 경우와 사적 장소에서 짧은 말로 이루는 경우로 나눈 후, 마지막의 것이 다름 아닌 소피스트라고 규정한다(268a-c). 이상 분할 방법의 내용을 종합하여 플라톤은 소피스트란 모방하는 자이니, ‘믿음에 기반하여 시치미를 떼며 반대되는 것들을 만드는 것 가운데, 신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과 관련해 말 안에다 경탄할 만한 부분을 만드는 모상제작술 중 환영제작술의 종류에 속하는 것을 하는 자가 진짜 소피스트라고 한다면 무엇보다도 참되게 말하는 것 같다’고 하며(268c-d), 소피스트의 본성에 대한 탐구를 마친다. 플라톤의 분할 방법은 비-배타적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소피스트가 앎을 지닐 수 있는 가능성이 적적으로 배제되고 있지는 않다. 더군다나 플라톤은 소피스트를 모방하는 자로 밝히고 있으니, 앎을 지닌 채로 사적 장소에서 짧은 말을 제공하고자 닮은꼴을 제작하는 기술 역시 불가능하지 않다. 아는 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닮은꼴로 만들어 내는 경우, 이러한 자는, 앞서 분할 방법들을 통해 제공된 소피스트에 대한 규정들을 위반하지 않는 채, 혼 안에 옳은 믿음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의 거짓을 제공하는 완벽한 소피스트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피스트는, 앎을 지니는 것이 최상이겠으나 혼의 본성에 따라 그럴 수 없는 경우에서도 가능한 한 앎에 가까운 혹은 앎과 같은 비율을 지닌 믿음을 사람들이 갖추도록 도움을 주어, 공동체의 공공선을 도모하는 철학의 실천에서 긍정적으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으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