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개선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수업개선활동(교과교육연구회, 수업공개, 수업컨설팅, 교과협의회)이 교사의 효능감과 수업역량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고, 수업개선활동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의 2차년도(2017년) 중학교 교사 43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수업역량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육연구회 참여는 교사의 수업역량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수업공개와 교과협의회 참여는 교사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수업역량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은 수업개선활동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청 차원의 수업컨설팅은 교사효능감과 수업역량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역량 제고를 위한 교원정책 수립과 교사 교육 및 단위학교 내 학습조직 운영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y and furthermore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For this purpose, curr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using the teacher data collected from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participating in the study group of subject matter education predicted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y positively. Second, open class and the participation in curriculum councils predicted teacher efficacy positively. Third, teacher efficacy predicted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y significantly, and teacher 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on instructional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y the office of education did not predict both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significantly.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eacher policies to enhance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y, teacher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s in unit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