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턱걸이 운동 시 스트랩 사용이 상체와 팔근육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최근 1년간 근골격에 이상이 없고 턱걸이를 10회 이상 할 수 있는 30명의 C대학 체육교육학과 대학생 5명 이었다. 맨손 턱걸이와 스트랩을 사용한 턱걸이를 각각 실시하게 하였으며, 무선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상체와 팔근육의 근전도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조건사이에 턱걸이에 걸린 운동 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최대 근활성치와 적분근전도 값은 맨손 턱걸이 운동과 스트랩 턱걸이 운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동작시간 1% 단위로 시계열에 따른 근활성치 비교 결과 광배근, 전면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승모근, 중승모근, 하승모근의 동작 구간 별 근활성치는 스트랩을 착용한 턱걸이가 맨손 턱걸이보다 일부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한편 대흉근, 후면삼각근의 근활성치는 스트랩을 착용한 턱걸이 동작이 맨손 턱걸이 동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부 구간에서 낮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트랩 착용은 전완근의 근활성치를 줄여주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등근육들의 근활성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ap usage on the activities of upper body and arm muscles during chin-up exercise. Subjects were thirty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ho have had no musculoskeletal diseases in last one year and can do chin-ups more than 10 times. They performed two different sets of chin-up such as bare hands and strapped hands, respectively, and the electromyography (EMG) data of the upper body and arm muscles were collected by a wireless EMG system.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vement time between the two different chin-up conditions. Secondly, the values of maximum muscle activity and integrated EMG were no different between bare-handed and strap-handed chin-ups. Thirdly, when we looked into mean differences of EMG from the perspective of time-series by 1% of normalized movement time, the muscle activities of back muscles, front deltoids, biceps brachia, trapezius muscles for strap-handed chin-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are-handed one in some temporal region(p<.05). On the other hand, the muscle activities ​​of pectoralis major muscle and posterior triceps for strap-handed chin-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ome temporal region than the bare-handed one (p<.05). In summary, it was concluded that wearing a hook-style strap during chin-up reduces muscle activities of forearm muscles but tends to increase muscle activities of back muscles as a result of compen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