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상호문화영화는 기존의 다문화영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미래의 방향을 제시한다. 관주도의 일방적인 계몽주의 방식은 이제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고, 모든 중심주의를 타파하고 동등한 관계에서 타자와 만나 상호작용하는 상호문화주의의 중심 가치는 민주주의가 기반이 되는 사회의 모습과 연결된다. 2014년 제정된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을 바탕으로 작성된 보고서는 이미 다문화교육을 상호문화적 관점의 문화다양성 정책에서 보완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이 생소하다고 느끼는 상호문화주의는 사실 이미 한국 사회에 뿌리를 내린 상태이다. 현실적으로 타자와 만나는 것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은 결국 타자와 소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다. 여러 문화콘텐츠의 유형 중 영화는 집중과 접근의 용이성이 특징이며, 대중에게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커다란 스크린을 통해 이주민의 문화적 갈등을 마주하는 것은 주류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다시 돌아보게 만든다. 제도권에서 소외되고 배제되었던 영역을 찾고, 하나의 미적 경험으로도 완전한 상호문화영화는 교육 철학이자 자료이다. 따라서 상호문화영화를 내러티브, 캐릭터, 영화언어의 장르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은 자료를 정제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국 상호문화영화의 내러티브는 이방인을 찾거나 이방인이 찾는 무언가를 따라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방인의 이름이 제목으로 된 영화가 많다는 것은 한국 사회 속에 묻혀있던 이방인의 존재를 다시 상기하자는 것이다. 또한 이방인에게 소중한 것을 영화의 여정을 따라 관객이 함께 찾아가는 과정은 평범한 것을 얻기 위하여 그들이 감내해야만 했던 노력의 크기가 과연 합당했는지 질문하게 만든다. 상호문화영화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는 길 잃은 이방인, 억압적 주류, 희생적 조력자가 있다. 여기에서 길 잃은 이방인 캐릭터는 정부의 정책 대상과 일치하는데, 이는 그 범주에 들어가지 못하는 이방인의 이야기는 아직 스크린으로 옮겨오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이방인 캐릭터는 억압적 주류를 만나 시련을 겪으며 좌절하기도 하고, 희생적 조력자 캐릭터를 만나 삶에 대한 의지를 다져나가기도 한다. 다음으로 영화언어는 미장센으로 영화만 보여줄 수 있는 의사소통을 한다. 클로즈업, 핸드헬드, 롱테이크와 디프포커스 기법은 카메라를 활용해 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카메라 드러내기’는 상호문화영화의 독특한 미장센으로 ‘상호문화적 렌즈’와 은유적으로 연결된다. 이 외에도 시각적인 표현의 의상이나 소품, 청각적인 표현의 대사, 배경음악, 효과음 등은 다양하게 분화된 의미를 함축적으로 전달한다. 관객은 영화언어를 이해함으로써 진정으로 영화를 사유할 수 있게 된다. 영화는 타자의 삶을 통해 세상을 보여주고, 나 자신을 비춘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그 사회 구성원으로 존재하는 나를 이해하는 것은 영화를 교육해야 하는 가치가 된다. 영화를 관람한 후에 자기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행위는 감정을 정화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는 것을 돕는다. 상호문화영화의 교육적 가치는 영화 제작 시스템 단계, 콘텐츠 기획의 9단계, ASSURE 수업 모형을 접목한 상호문화영화를 활용한 교육콘텐츠 기획 방법에 투영된다. 여기에 더해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시한 4차시 수업의 예시는 현장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호문화주의의 실용성이 담겨있다. 상호문화주의적 가치가 투영된 관점인 ‘상호문화적 렌즈’로 영화를 보는 것은 반복된 교육 경험이 누적되어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영화를 보던 ‘상호문화적 렌즈’는 최종적으로 세계와 세계인을 보는 눈이 되어야 한다. 상호문화영화는 영화에서 끝나지 않는다. 영화를 보고 새로운 콘텐츠로 응답하는 창의적인 소비자가 그것을 완성해가는 것이다.


Intercultural films present directions for existing multicultural films to take in the future. The unilateral enlightenment method led by the government has now reached its limit, and the central value of intercultural films where all centrisms are overthrown to meet and interact with others as equals is connected to the appearance of society where democracy is at its center. The report drafted based on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enacted in 2014 explicate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cultural diversity policie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refore, interculturalism that people may not feel familiar with has actually already taken root in the Korean society. In reality, limitations with meeting others is inevitable. What can supplement this is utilizing cultural contents made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ultural contents, films are characterized by the ease of concentration and accessibility, and it has the strongest force to the general public. Facing the cultural conflicts of immigrants through a large screen can make one think again about the stereotypes and biases of the mainstream society. Intercultural films that can be completed by finding an alienated and excluded field in the institutional system or a single aesthetic experience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material. Therefore, analyzing an intercultural film from the genre perspective of narratives, characters and cinema language has meaning that goes beyond refining materials. The narratives of Korean intercultural films can be divided into finding a foreigner or following the thing that the foreigner is in search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films titled after the names of foreigners once again shows the existence of foreigners buried deep in the Korean society. Furthermore, the process of the audience following the cinematic journey for that which is valuable to the foreigner asks us the question on whether the size of their efforts and what they must endure to obtain something that may be common is truly appropriate. Characters that appear in intercultural films out of necessity are foreigners who lost their way, an oppressive mainstream, and a sacrificing helper. Here, the lost foreigner character is consistent with the subject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is means that the stories of foreigners who have not entered that scope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the screen. The foreigner character endures hardships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n oppressive mainstream to fall in despair, while at times, meeting with a sacrificing helper to one again become resolved to live well. Next, cinema language communicates with mise-en-scene that only films can show. Close-up, hand-held, long-take, and deep-focus techniques use the camera to effectively show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In particular, ‘revealing the camera’ is a mise-en-scene unique to intercultural films and it is metaphorically connected to ‘intercultural lens’. Moreover, clothing and props, which are visual expressions, and line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etc. which are auditory expressions compressively delivers various and divided meanings. By understanding the cinema language, the audience can truly comprehend the film. Films show the world through the life of others and it sheds light on one’s self. Understanding the society surrounding me and understanding me as a member of the society is the value of educating films. The act of producing contents on one’s own initiative after watching a film can help purify one’s emotions and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Educational values of intercultural films project the educational contents planning method using intercultural films that integrate the film production system stage, nine stages of contents planning, and the ASSURE teaching model. The four classes presented as an example by adding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ourse can be applied on site immediately, and therefore, it contains the practicality of interculturalism. Watching a film through an ‘intercultural lens’, which is a perspective that projects intercultural values, can be achieved only when repeated educational experiences are accumulated. Furthermore, ‘intercultural lens’ for watching films should ultimately become the eyes for viewing the world and people of the world. Intercultural films do not end with films. It is something that creative consumers who watch films and respond with new contents comp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