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왕조의 국가 심문 기록인 《추안급국안》은 1970년대 초에 발견된 이래, 조선후기의 정치사회사를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서 주목받아 왔다. 종교사 연구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자료는 유럽의 이단심문 문서와 경우와 비슷한 방식으로 반체제적인 종교문화와 그에 대한 통치체제의 반응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문서들의 성격과 내용을 소개하는 한편, 이를 종교학적 연구의 재료로 삼기 위한 방법을 탐색한다. 추국 문서는 통상적인 사료 비판이 곤란한, “거짓말을 하는 것이 당연한” 자료다. 종교문화에 대한 해석에활용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이를 사실/거짓의 문제에 주목하는 ‘수사관’의 태도나, 사건피의자들에게 공감적으로 접근하는 ‘변호사’의 태도 대신, 비판적인 관점으로 민족지를대하는 ‘인류학자’의 태도에 설 필요가 있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그동안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날조된’ 변란 사건 두 사례를 통해 이런 접근이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을 실제로 보이고자 하였다. 1687년에 제주도의 삼성혈(三姓穴)에서 반란의 성공을 기원하고조선 국왕과 제주목사를 저주하는 기도문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유배객 양우철(梁禹轍) 이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예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작한 것이라 밝혀졌다. 이 기도문과 예언서에서 우리는 제주도의 토착적 신격인 ‘삼을나(三乙那)’에 대한 신앙의 정치적이용, 역대 왕조의 역년(歷年)에 대한 예언의 초기 형태, 당시의 저주 테크닉 등을 발견할 수 있다. 1712년, 이운(李橒)은 자신의 이웃 백상복(白尙福)이 장차 황제로 등극할 것이라 주장했다고 무고하였다. 그가 고발한 반란 계획에는 18세기 사건들에서 나타나는‘삼국의 분열’에 대한 시나리오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고발의 근거 가운데 하나는 그들이 정기적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추국 과정에서 주목받은 것은 제사의 대상이 하늘이었다는 것보다는 그 의례가 실제 반란의 의도와 연관되어 있었느냐는 점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반란 의례의 대상이 되는 신격과 그를 둘러싼 의례정치학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다. 이들 사례는 심문 기록에 대한 종교학적 작업이 당대의 종교적 상상력을 서술, 해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h’uan’gŭpkugan, the documents of national inquisition of Chosŏn dynasty, have received attentions as the materials which can show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early modern Korea, since they were found in the early 1970s. From a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Religion, these documents shows religious counterculture and response of ruling culture against it. This article introduce the character and contents of these documents, and explore correct way to employ them as materials for Religious Studies. Inquisition texts are the documents which ‘ought to lie,’ so hard to apply usual source criticism. The researcher, therefore, need to take a stand of an anthropologist who critically treats ethnography, instead of an investigator who pay attention to true/false problem or a lawyer who sympathize with the suspects. In the latter half of article, two cases of ‘trumped-up’ insurrections were discussed to show the merit of such an approach. In 1687, a prayer paper was found from Samsŏnghyŏl 三姓穴 in Jeju Island. It was revealed that was a fabricated text by exile Yanguch'ŏl based on his prophetic books. In the paper and books, we can deduce the political use of the cult on Samŭlla 三乙那, the ancestor gods of Jeju, an early form of prophecy on kingdoms of many generations, and black magic techniques of those days. In 1712, Yi Un 李橒 accused his neighbor Paek Sangpok 白尙福 that he was pretended that they would be a emperors. The rebellion plot he disclosed included a scenario on ‘the division of three kingdoms, which was appeared in other insurrections in 18th centuries. Another basis of accusation was that Yi regularly worshiped the sky god. However what was interrogated in inquisition was whether the ritual was related to rebellion, rather than which god was worshiped. With this point, we could reconsider about the deities in ritual of rebellion and ritualpolitics on them. These cases show us that works of historian of religion can be useful to describe and analyze the religious imaginations of those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