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외 연구기관, 정부, 민간기업, 미래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주요 인재상들을 광범위하게 종합적으로 고찰, 비교ㆍ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인지적, 기술적, 인성적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혁명, 인재상과 핵심역량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 연구기관, 정부, 기업, 미래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인재상들을 검토한 후 각 인재 상을 비교ㆍ분석한다. 끝으로, 인재상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제를 탐색하여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교육과제를 제시하면, 먼저, 인지적 차원에서는 기본 인지 역량, 특정분야 전문성, 문해력 함양을 위한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 진로탐색 강화 및 코칭, 멘토 프로그램 활성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 등을 제안한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창의력 및 메이킹 (Making) 능력, 의사소통 및 협업, 기업가정신 및 리더십 능력 함양을 위해 허용적 교육환경 조성,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 구축, 프로젝트 학습 강화, 성실실패에 대한 용인 등을 제안한다. 인성적 차원에서는 공감과 배려, 참여와 열정, 자기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대리 경험 기회 확대, 봉사 프로그램 강화, 의사결정 참여기회 확대, 대학입시전형의 다양화,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성장 마인드셋 등의 강화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ducation tas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alent capacit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e talent capaciti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futurists presented were analyzed and the education tasks were suggested from 3 perspectives, namely, knowledge, skill, attitud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basic cognitive capacity, expertise in specific fields, reorganization into a future󰠏style curriculum, strengthening career exploration, activating coaching and mentoring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are suggested from the knowledge perspective. Secondly, creating the accep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ker spaces, strengthening project learning, and tolerating sincere failure are suggested from the skill perspective. Thirdly, the expansion of proxy experience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strengthening volunteer programs, diversification of college entrance exams, development of the self󰠏efficiency, resilience and growth mindset are suggested from the attitude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