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량적-정성적 연구 방식을 도입하여 일상대화에서 나타나는 ‘像’과 ‘好像’의 빈도, 분포, 기능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像’과 ‘好像’은 일상대화에서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분포 양상을 보이며 기능면에 있어서는 근소하게 중복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특히 담화표지로서 ‘像’과 ‘好像’은 뚜렷하게 대조적인 기능을 보여 ‘像’은 의미 확장 과정을 통하여 후행 발화를 구체화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好像’은 화자의 불확실한 태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담화-화용적인 기능을 보이는 ‘像’과 ‘好像’은 모두 대화참여자들의 이해, 협력, 선호 반응을 이끌어 내는 상호작용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대화참여자들이 원만하고 효과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이끈다. 본 연구는 ‘像’과 ‘好像’에서 나타나는 담화 기능과 상호작용 간에 긴밀한 관련이 입증하며 어법화는 일상적인 언어 사용의 결과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several aspects of the Chinese words xiang and haoxiang.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t will explore their frequencies, distributional properties and functions in conversational contexts. An analysis of syntactic and discourse phenomena show that xiang, haoxiang and their co-occurrences have almost complementary distributions and only partially overlapping functional profiles in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As discourse markers, xiang and haoxiang have two distinct and contrasting functions. Xiang is mainly used to concretize the upcoming proposition through the process of semantic extensions, while haoxiang is primarily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uncertain stance. Both xiang and haoxiang perform the social and interactional functions of inducing the interlocutor's understanding, collaboration, and preferred response. Recognizing the discourse-pragmatic functions of xiang and haoxiang and using them properly help Chinese speakers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his study suggests linkages between the interaction and discourse functions for xiang and haoxiang, and it may also offer support from Chinese for the hypothesis that grammaticalization is a result of the daily routinized use of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