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공식적인 기록에 대한 일종의 대항기억으로, 지난 2015년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서 발생했던 도시빈민들의 추방사태를 밑바닥의 역사로 해석한 연구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지배적 서사는 늘 국가나 건물주의 의도에 따라 성공적으로 세입자들이 추방되고 도시가 재개발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거기에는 쪽방촌이라는 공간을 쟁취하기 위한 도시빈민들의 처절한 노력 및 고통이 철저하게 은폐되어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망각된 사태를 당사자의 입장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사회가 규정해온 불쌍한 쪽방촌과 수동적 도시빈민, 을질하는 철거민이라는 기존 테제의 유통으로부터의 탈주가 요구됨을 밝히고자 했다. 본고가 다루는 동자동 9-20사태는 당시 세입자와 건물주 사이의 오랜 대립과 협상을 거치면서 세입자들이 일부의 유효한 성과를 거두었으나, 이후에도 쪽방촌 내에서 철거를 빌미로 한 추방사태는 멈추지 않고 있다. 변하지 않는 현실에서 이들 쪽방촌 도시빈민의 대항기억과 탈주체화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지 탐구해본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displacement occurred at 2015, in a concentrated poverty area called Jjokbangchon located in Dongja-dong, Yongsan-gu, Seoul, with the counter-memory of the poor people directly involved opposed to the formal memory. As a matter of fact, the dominating narrative as to this kind of situations was always the successful eviction of the urban poor, in compli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State or building owners. But there the desperate endeavors and severe suffering of the urban poor in order to obtain the Jjokbangchon space was thoroughly concealed. Thus this study tried to re-illuminate the forgotten affair through the lens of the urban poor themselves, so that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concepts of Jjokbangchon(pathetic), the urban poor(passive), the evicted(stubborn) needs to be fundamentally reconsidered. The displacement introduced here concluded with a partial victory of the Jjokbangchon tenants, after long time of conflicts and negotiations between tenants and the building owner. However, displacements still continue in Jjokbangchon even after i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the Jjokbangchon urban poor’s power and counter-memory are meant to be in a seemingly unchangeabl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