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긍정 정서 반응 척도(K-RPA), 자서전적 기억 검사(AMT), 및 통합적 한 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 정서 반응의 긍정 반추 요인과 우울 증상의 관계 에서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다시 말해,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중간과 높은 집단에 서는 긍정 반추의 증가에 따라 우울 증상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긍정 반 추가 증가하여도 우울 증상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긍정 정서 반응의 가라앉히기 요인은 우울 증상에 정적 영 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biographical memory specif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and depressive symptoms. Two hundred and sixty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Korean-Responses to Positive Affect Questionnaire(K-RPA),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est(AMT),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utobio- graphical memory specific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That is, in groups with moderate and high autobiographical memory specificity, the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ositive rumination. However, in groups with low autobiographical memory specificity, the depressive sym- ptoms did not decrease even as positive rumination increased. Dampe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 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